시민 반발 이어 시의회도 가세
美2사단 공여지 반환 등 골자
성명서 발표 정부에 결단 촉구
60년간 희생… 더이상 못참아
발전 마스터플랜 무력화 성토
주한미군의 핵심전력인 미 육군 제2보병 사단을 한미연합사단으로 재편해 한강 이북에 잔류시키는 방안이 유력하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동두천시와 시민들이 강력 반발(본보 30일자 1면)하고 나선 가운데 동두천시의회도 반대 입장에 가세하는 등 반대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동두천시의회는 30일 성명서를 내고 ‘한ㆍ미 연합사단 창설부대 동두천 주둔’ 소식과 관련 반대입장과 함께 △미2사단의 평택 이전 △동두천발전종합계획 내 미2사단 공여지 반환 △동두천 전 지역의 국가지원도시 지정 및 미군공여지 무상양여 등의 요구 사항을 정부에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 2년 동안 동두천을 지키고자 전국을 돌며 미군공여지 반환촉구 항의집회와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서명부를 청와대, 국방부 등 정부 각 부처와 미 대사관에 전달했다”면서 “하지만 정부는 동두천 시민들의 요구 사항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기는커녕, 일방적인 독주로 동두천 시민들을 아연케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동두천시는 60여년간 시 전체면적의 42%가 공여지로 사용되고 개발제한과 기지 반환이 지연되면서 계속된 경기침체로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고 부연한 뒤 “미 보병 제2사단 이전 시기인 2016년도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위해 마스터 플랜을 완성하고 민간자본 유치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에 정부가 일관성 없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비난을 쏟아냈다.
장영미 의장은 “10만여 동두천 시민들이 정부에 극도의 불만감을 표출하고 있다. 정부는 경제 활성화에 필요한 비용과 각종 제도개선에 관한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면서 “동두천 시민들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않을 경우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정부의 일방적인 계획을 저지할 것”이라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한편 한미연합사단은 미 2사단과 한국 육군으로 구성되는 혼성부대를 말한다. 이 방안은 지난 2012년 초 우리 육군이 주한 미 8군사령부에 의사를 타진하면서 논의가 시작됐다.
당시 우리 육군은 주한미군 이전계획에 따라 평택으로 옮겨가야 하는 미 2사단을 경기북부 지역에 잔류토록 하자는 아이디어 차원에서 미측에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두천=송진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