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상공회의소는 14일 ‘화성지역 전입업체 만족도 및 애로사항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화성시로 전입한 10인이상 사업체 621개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화성지역 전입업체의 기초실태조사 결과, 화성지역으로 전입한 기업의 71%가 제조업으로 주로 경기도내(73.1%)에서 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산 18%, 시흥 18%, 수원 17% 등 비교적 인접한 지역이 가장 많았다.
화성지역으로 전입을 결정한 요인에 대해서는 저렴한 공장용지 때문이라는 응답이 33%로 가장 높았고 협력업체 집적도 21%, 경영진 의지 16%, 물류비용 절감 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화성으로 전입한 후 사업성과의 변화를 묻는 설문에서는 현상유지중이라는 응답이 52%로 가장 높았으며 개선 또는 매우 개선되었다는 응답도 39%로 높게 나타났다. 악화되었다는 응답은 9%에 그쳤다.
화성 전입 후 만족도를 묻는 설문 중 인력 수급현황에는 응답 업체의 상당수가 불만족스럽다(54%)는 반응을 보인 반면 만족스럽다는 응답은 10%에 그쳤고, 산업인프라 시설의 만족도 질문에도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이 30%이상으로 타 설문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전입 후 애로사항으로는 앞서 만족도 조사의 결과를 반영하듯 대중교통 및 물류 35%, 인력확보 36% 등을 꼽아 화성지역의 고질적인 교통난과 인력난의 심각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화성상의 관계자는 “전입기업의 대부분이 저렴한 공장용지 및 협력업체와 집적효과 등을 기대하며 화성으로 전입하지만 전입 후에는 교통난과 인력난, 산업인프라 부족 등에 시달리게 된다”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시 차원에서 전입기업에 대한 행정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고 보다 현실적인 교통 및 인력지원 정책을 수립·지원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성=강인묵기자 im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