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세월호 피해자 ‘마음의 상처’ 치유 소홀

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1만5천여명 상담 ‘장사진’

피해가정 방문등 서비스

보건소 사실상 ‘파김치’

행정적 지원 인력 등 외면

안산시가 정부로부터 세월호 사고 대책을 지원하기 위한 전담부서를 승인 받고도 조례 개정을 이유로 미루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는 가운데(본보 19일자 7면) 사고 피해자들의 심리상담 지원 등을 담당하고 있는 분야에는 인력을 지원하지 않고 있어 인력 배치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21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29일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인한 희생자 및 실종자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전담부서가 필요하다며 안행부에 전담기구 설치를 요구, 5급을 단장으로 하는 전담기구를 한시적으로 승인 받았다.

그러나 시는 5급으로 하는 세월호 사고 대책 전담부서 신설의 경우 조례 개정이 필요하다며 지금까지 부서 신설을 미룬 채 이달 초 여성가족과에 유가족 희망팀(계)을, 복지정책과에는 유가족 생활안정팀을 각각 신설해 행정지원 돌보미 운영 및 생활안정자금 지원 업무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자치행정과 자치여론계에서는 유가족 대표단 지원 및 요구사항 수렴과 식품위생과 공중위생계에서는 추모기념관(가칭) 건립 추진 업무 등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22일부터 올림픽기념관으로 사무실을 옮겨 운영될 예정인 ‘안산 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에서는 분향소와 병원, 장례식장, 동 주민센터 등에서 심리상담소를 운영, 최근까지 1만5천여명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심리상담을 실시하고 사고 피해가정의 80%를 대상으로 가정방문 상담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보건소 측에는 인력을 전혀 지원하지 않고 있다.

특히, 트라우마센터의 경우 마음과 정신적 충격에 대한 위로 상담 및 우울,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에 대한 초기진단과 피해가족 등을 위한 심리안정팀이 가정을 직접 방문해 상담과 심리지원 서비스, 가족 모임 지원, 회복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있어 이를 뒷받침해 줄 행정 인력이 절실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트라우마센터의 경우 심리상담은 전문 인력이 맡아 업무를 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보건소나 센터에서 행정지원 인력을 요청한 사실이 없어 인력을 배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