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직구 열풍, 지난해보다 56% 늘어… 주의해야 할 부분은?

해외 직구 열풍, 지난해보다 56% 늘어… 주의해야 할 부분은?

해외에서 물품을 직접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지난 20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4월까지 특송이나 국제우편 등을 통한 인터넷 직구, 구매대행 등 전자상거래 수입액은 4억8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6%나 늘었다. 수입건수도 496만건으로 52% 증가했다.

특히 미국에서 구매한 건수는 올 1~4월 367만건으로 전체의 74%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 57만건(11%), 독일 24만건(5%), 홍콩 21만건(4%), 일본 10만건(2%) 등의 순이었다.

품목별로는 의류·신발이 133만건(27%)으로 가장 많았고, 건강식품 67만건(14%), 화장품 42만건(8%), 핸드백·가방 39만건(8%), 완구 16만건(3%)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는 30대의 해외직구 이용177만건(52%)이 가장 많았다.

해외 직구 이용자가 많아짐에 따라 관세청은 해외직구 이용시 위해식품류나 농림축수산물 등 품목에 따라서는 국내에 반입이 제한되는 품목이 있는 만큼 사전에 확인한 후 구매해야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당부했다.

또한 관세청은 자신이 쓸 물품을 수입할 경우 간편하게 통관을 해 주고 있지만 이를 악용해 판매용 물품을 들여오는 것은 불법인 만큼 주의해 달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관세청 관계자는 "특송으로 들어오는 모든 전자상거래 물품은 100% 엑스레이 검사를 실시하고, 타인 명의를 도용한 불법통관을 방지하기 위해 특송화물의 배송결과를 제출하도록 관세법을 개정해 올해부터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해외 직구 열풍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