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책읽는 성인·학생 늘었다

문광부 조사, 도서프로그램·독서환경 개선 영향

학교의 도서프로그램 및 직장의 독서환경이 독서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체계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13년 국민 독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 가운데 성인의 독서율은 지난 2011년보다 4.6%가 증가한 66.8%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은 12.2%가 증가한 96%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문광부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천명과 초·중·고등학생 3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에서 이같이 나타났으며 만 15세 이상을 기준으로 볼 때 유럽연합의 평균독서율 68%보다 5%p 높은 73%, 공공도서관 이용율은 32%로 유럽연합 평균 31%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량을 보면 성인이 9.2권으로 0.7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고 학생은 32.3권으로 8권 증가했다. 평일 독서 시간은 성인의 경우 23.5분이고 학생은 44.6분인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로 아침에 독서운동을 실시하는 학교는 지난 2010년 55%에서 지난해 70%로 늘었으며 성인은 독서와 관련된 직장을 다니는 경우 연간 16권인 것으로 분석돼 독서량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가정에서 책 읽어주기 △독서권장 등이 가장 주요한 것으로 조사돼 생애주기별 독서활동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책을 선호하는 분야는 전체 성인의 73.8%가 인문학 도서 읽기가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했으며 독서를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업무(성인 40%)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학업(학생 30%) △책 읽기가 싫고 습관이 들지 않아서(성인 17%, 학생 22%) △다른 여가활동(성인 16%, 인터넷·휴대전화·게임 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