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잔류 소식에 동두천시민 ‘행동개시’

‘미군기지 잔류’ 동두천 시민 분노 폭발

강추위 속 1천명 궐기대회 “예정대로 평택으로 떠나라” 강력한 대정부 투쟁 예고

동두천 주한미군 잔류소식에 뿔난 10만 동두천시민들이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선언하고 나섰다.

동두천시의회 미군기지 이전 촉구 비상대책특별위원회(임상오 위원장)는 26일 오전 보산동 미2사단 정문 앞에서 1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미 연합사단 창설 동두천 주둔’에 반대하는 시민 총 궐기대회를 개최했다.

함박눈이 쏟아지는 강추위 속에서도 시민들은 “동두천 캠프 케이시와 캠프 호비를 애초 계획대로 평택으로 이전하라”고 요구했다.

또 참석자들은 △한·미 연합사단 동두천 주둔계획 철회 △평택시와 동등한 예산 지원 △동두천특별법 제정 지원대책 마련 및 안보희생 60년 보상할 것 등을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임상오 비대위원장은 “시의회 비대위는 지난해 6월부터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전국을 돌며 범국민 미군기지 반환촉구 전국민서명운동을 벌여왔다”며 “계란으로 바위를 깨는 심정으로 뭉쳐 정부의 일방적 정책수립을 저지하자”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평택은 지원특별법으로 18조8천억원을 지원하고도 모자라 삼성 등 100조 이상의 투자를 통해 4만명의 고용창출과 1천억원의 지방세 증대가 기대되는 반면 60년 국가 안보로 희생된 동두천의 지원이 전무해 피가 거꾸로 솟는 기분”이라며 특단의 정부 지원을 촉구했다.

박형덕 시의회의장도 “더 이상 참지 못하는 동두천시민들의 분노에 한ㆍ미 정부는 이제라도 책임있는 답변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오세창 동두천시장 역시 “2016년 미군기지 이전에 대비한 각종 개발계획들을 송두리째 물거품으로 만드는 국가가 원망스럽고 우리의 목표가 관철될 때 까지 끝까지 투쟁해 나가자”며 “미군부대 잔류든 이전이든 결정을 내리기 전에 동두천시와 먼저 협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이어 미2사단 앞에서 지하철 1호선 지행역까지 도보행진을 하며 시민들의 동참을 호소했다.

앞서 국방부와 미8군사령부 항의 방문 및 전국민 서명운동을 이어온 비대위는 이날 궐기대회를 끝으로 비대위를 해산하고 내년 1월 초에 구성될 각계각층의 동두천시민이 참여하는 범시민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본격적인 대정부 투쟁을 후방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한미 양국이 합의한 연합토지관리계획(LPP, Land Partnership Plan) 또는 전략동맹 2015에는 동두천지역의 캠프 케이시와 캠프 호비를 2016년까지 평택으로 이전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지난달 한미연합사령관이 미군부대의 ‘한강 이북 잔류 필요성’을 언급한 데 이어 이달 초 미8군사령부가 동두천시장에게 ‘잔류 검토’ 서신을 보내 검토 사실이 공식 확인됐다.

동두천=송진의기자 sju0418@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