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창’ 꿈꾸는 정하린씨
‘국악과 서양음악을 넘나들면서 판소리를 대중과 함께하는 소리로 만드는 재주꾼이다.’
천하제일 국창(國唱)을 꿈꾸는 국악인 정하린씨(세종국악관혁악단 소리단원)에 대한 세간의 평가다.
안양출신으로 군포로 시집 온 정씨는 꽃다운 고등학생 때만 해도 서양가곡에 심취해 성악가의 꿈을 키워왔다. 하지만, 고교시절 정씨의 몸이 아파지면서 성악가의 꿈을 접어야만 했다. 절망의 시기에 정씨를 다시 일으켜 세운 것은 바로 우리의 소리인 ‘판소리’.
이후 국악의 세계로 입문한 정씨는 전국국악경연대회에서 차상을 받는 등 고공행진 중이다.
정씨는 숱한 아이돌 그룹이 내놓는 대중음악의 홍수 속에서 국악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들이 많아질 때까지 노력을 이어가겠다는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이를 위해 예술공연단체 및 지자체에서 전통무대에 설 수 있는 차세대 소리꾼들의 무대를 많이 만들어 달라고 요구했다.
그는 “동료 선후배 소리꾼들이 전공을 살리지 못한 채 국악인의 꿈을 도중에 포기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며 “우리 문화 중에서도 구전으로 전승되는 특성상 소리꾼들이 많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국악인 자신의 피나는 노력과 더불어 사회의 관심과 애정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정씨는 “성악에서 판소리로 전공을 옮기며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보다도 발성법이었다”며 “성악은 두성을 주로 사용하는 창법이고 판소리는 뱃속에서부터 끌어올려 목으로 바로 내는 복식호흡으로, 진성을 주로 사용하는 창법이었기 때문에 매일 울며 판소리 발성법을 연습 또 연습해서 터득했다”고 귀띔했다.
양악과 달리 구전문화의 한 줄기를 잇는 판소리는 입에서 입으로 전수되는 것으로 극도의 긴장감 속에서 레슨때마다 지도선생님의 소리를 하나라도 놓칠세라 초 집중을 해야 했다고.
이런 노력 끝에 정씨는 오는 7일 군포시 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리는 ‘2013 송년음악회’ 협연자로 무대에 올라 애틋한 사랑의 그리움을 우리 선율의 감성에 담아 대중에게 선물할 예정이다.
우리 것을 더욱 소중히 여길 수 있는 공감대를 형성코자 혼신의 힘을 쏟는 정씨의 모습에서 한국적 모티브를 세계적인 콘텐츠로 끌어올리려는 진정한 한국인의 힘을 느껴본다.
군포=김성훈기자 magsai@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