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경전철 ‘내년 통합 환승할인 추진’ 지지부진

의정부 경전철의 내년 수도권 통합 환승할인이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환승할인 시스템 구축을 비롯한 관계 기관간 협의 등을 거치려면 최소 8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되나 손실분담금 협상이 진척을 보이지 못해 시스템 구축 등은 손도 대지 못하고 있다.

13일 의정부시와 의정부 경전철㈜에 따르면 안병용 시장은 지난 2월 의정부 경전철의 안정적 운용과 시민교통 편의를 위해 내년부터 통합 환승할인을 추진하겠다”고 밝혀왔다.

다만, 서울시 등 11개 관계기관간 요금체계 및 배분 정산 협의와 환승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변수가 발생할 수 있고 통합환승에 따른 손실보전액 부담으로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됐다.

이러한 가운데 경기도가 지난 2월27일 의정부 경전철 환승할인 도입에 따른 손실금 30%를 지원하겠다고 의정부시에 통보하면서 내년 수도권 환승할인 도입이 순조롭게 이뤄질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지난 2월말 부터 벌여온 사업시행자와의 손실분담금 협상이 지난 6월 이후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전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의정부시는 환승할인이되면 의정부 경전철㈜의 수입도 늘어나는 만큼 분담은 필요하기 때문에 경전철 건설비용 분담과 같은 민자 52%, 공공 48% 비율로 분담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의정부 경전철㈜ 측은 경영악화와 출자자의 반대를 들어 분담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

시 관계자는 “환승할인을 하면 그만큼 승객이 많아져 운임수입이 늘어나 경영수지가 개선되기 때문에 의정부 경전철의 손실분담금 없이 환승할인은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의정부 경전철㈜ 관계자는 “현재 협약수요에도 미치지 못해 보전도 못 받고 매달 20억원 정도의 적자”라며 “환승할인을 했는데도 협약수요의 50%가 안나오면 운영적자에다 환승할인 분담금까지 적자가 가중돼 어쩔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의정부 경전철이 환승할인을 도입하면 연간 손실액은 약자할인 등 손실액 20억원을 포함해 매년 74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53520@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