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잡는 도심 속 자투리 땅… 논ㆍ밭으로 만들면 놀라운 결과 김태완 국립 한경대 식물생명환경과학과 교수 연구 결과
도심 속 자투리 땅(10㎡당)에 논과 밭을 만들면 30일 기준 30여만원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되고 있다.
8일 국립 한경대 식물생명환경과학과 김태완 교수는 ‘도시농업의 환경가치 연구’ 결과 논문을 통해 텃밭을 가꾸면 여름철 폭염기 상당 금액의 경제적 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10㎡의 농지를 조성했을 때 30일 기준 폭염기 시 논은 32만1천670원, 밭은 28만2천420원의 에너지를 절감과 대기 정화 효과가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교수는 “논은 가둬 놓은 물이 증발해 대기 온도를 떨어트리는 잠열 현상으로 냉방기 가동을 대체할 수 있는 비용이 10㎡당 1만700원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논은 벼가 일생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발생시켜는 대기정화 작용으로 하루 23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계상했다.
이 밖에도 도심 속 텃밭은 수증기 증발로 말미암은 열섬 감소 효과로 10㎡당 하루 9천400원, 대기정화는 10㎡당 14원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논은 137일 물을 가둬 놓았을 때 물 증발에 의한 잠열 효과가 밭보다 높게 나타날 수 있고 도심 속 논과 밭은 홍수조절과 토양 속 물 비축, 수질정화, 토양유실 점감 등의 기능을 발휘한다는 연구 결과를 냈다.
김태완 교수는 “과학적 근거를 통해 도시 농업의 경제적 가치를 처음 수치화 해 내는 데 성공했다”며 “자투리땅과 건물옥상 등에 작물을 가꾸는 도시농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성=박석원기자 swpar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