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TV에서 10남매 가족을 소개한 일이 있다. 고만고만한 아이들이 모여 있는 모습을 보니 걱정이 앞선다. 사는 모습을 보니 넉넉지 않은 모습인데 아이들 교육비 생활비는 어떻게 해결하는지 남 일 같지 않다. 이 가족이 살아가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어린 시절 10남매가 시골에서 살던 때의 기억이 되살아난다.
예전에는 마을에서 8~9남매를 낳은 것은 보통이었기에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형제가 많다고 해도 결혼을 해서 떠난 사람, 서울로 유학 간 형님, 직장 생활을 하려고 타지로 떠나고 남아 있는 사람 6~7명이 함께 살았다. 시골 생활이 다 그러하듯이 손 하나라도 있으면 일이 수월하기에 어머니는 일터로 나가시고 집에 있는 누나들이 동생들을 돌보다가 시집을 가곤 했다.
첫째 누님이 19살에 시집을 갔다. 그리고 어머니는 다음 해인 1955년에 필자를 낳으셨다. 이듬해 사위가 왔을 때 창피해서 쥐구멍에라도 들어가고 싶으셨다고 한다. 큰 누님은 그 다음 해 큰아들을 낳고 연달아 둘째 아들을 낳았다.
그중에서 다섯째 누님과의 생활이 가장 길었다. 누님은 솜씨가 좋아서 무슨 일이든지 척척 잘했다. 농사일이며, 음식솜씨 또한 수준급이었다. 특히 누나는 찐빵을 잘 빚었다. 여름이면 팥소를 넣어 만든 찐빵을 뚝딱 한 가마솥 쪄서는 한판 파티를 벌이곤 했다.
이 시절 우리 가족은 행복했다. 누나의 하모니카 반주에 맞추어 가곡을 부르곤 했다. 전기도 안 들어오던 시절 우리 가족들은 쏟아지는 별을 보며 추억을 만들곤 했다. 어머니는 막내아들이 중학교를 졸업하자 이번에는 큰딸에게 맡기셨다. 큰 누님에게는 고등학교 입학을 시작으로 결혼할 때까지 신세를 지게 되었다. 큰 누님은 아들 다섯을 낳아서 막냇동생까지 아들 여섯을 길러야 했다.
몇 년 전 2.1 연구소장이라는 직함을 가진 분이 계셨다. 어떤 뜻이 있느냐는 질문에 부부가 2.1명을 낳아야 적정한 인구가 유지될 수 있다는 설명을 들은 바 있다. 요즘 젊은 부부들이 2.1명을 낳기에는 어려움이 많으므로 관련 제도와 정책을 정비해야 한다고 했다. 나라의 장래를 위해서 세 자녀는 낳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김충영 수원시청소년육성재단 이사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