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군기지 이전에 따라 평택지역 보상차원에서 지원키로 한 각종 지원금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임승근 부의장과 김숭호ㆍ김기성 의원 등은 3일 평택시의회 제1차 정례회에서 정부가 지난 2005년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보상차원으로 국제화 계획지구 등의 건설 및 미군기지 주변지역 지원사업 등에 총18조8천16억원(국방부1조1천931억여원, 민자 17조6천23억여원)을 투자하기로 법으로 규정해 놓고 각종 지원을 미루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들은 “정부가 당연히 주어야 하는 사업임에도 예산이 투자되면 정치권의 생생내기용으로 전락되고 있다”며“그동안 추진된 국방부지원금과 민자투자 금액의 세부내역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이들은 “미군기지 이전으로 추진되는 삼성산단이 일반산업단지로, 고덕국제계획도시가 일반 택지개발로 전환돼 추진되면서 이주민 및 이주 기업들의 각종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특히 “국제화계획지구의 경우 LH는 예산 등을 고려, 3단계로 사업을 나누어 실시 한다고 하지만 불투명한 상태”라며 “정부가 약속한 사업이 부진한 것은 일반택지개발로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 아니야”고 추궁했다.
이에 대해 이철순 시 기획재정국장은 “지원금을 받아오는데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평택=최해영기자 chy4056@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