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장애인 보듬은 ‘소통시정’

경기장애인자립생활권리쟁취공동투쟁단이 지난 3일부터 지역사회에서 비장애인과 함께 교육받고 일하며 살 수 있는 권리를 찾고자 경기도 산하 10개 시·군을 돌며 릴레이 투쟁을 벌이고 있다.

초여름 30도를 웃도는 무더위 속에서 목발에 의존하거나 휠체어에 몸을 실은 이들이 요구하는 것은 장애인과 교통약자의 자립생활 보장을 위해 교통편의 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것이다.

지난 12일 다섯번째 릴레이 투쟁으로 이들은 파주시 금촌역을 찾았다.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 속에서 이들은 집회를 열었지만 역에서 빠져 나오는 수 많은 시민들은 비를 피하며 목적지를 향해 발걸음을 재촉할 뿐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사람을 찾기 어려웠다. 그런데 이날 이인재 파주시장이 이곳을 찾았다. 이 시장은 장애우들의 손을 일일이 잡아 위로하며 이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다.

이 시장은 장애인들의 요구에 대해 우선 장애인 특별교통수단 50%를 도입하고 이동지원센터도 올해 안에 설치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도로 준공시 장애인의 입장을 반영해 달라는 건의에 대해서 앞으로 파주시 도로공사 준공시에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현장 확인 절차를 통해 준공 허가가 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다른 자치단체장이 이들과의 면담을 회피하는 등 파행을 겪는 모습과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집회에 참석한 한 중증장애인은 다른 시장·군수들은 면담을 회피하기 바쁜데 이 시장은 집회 현장에 직접 찾아와 우리의 이야기를 들어줘 고맙다며 눈물까지 흘렸다.

최근 경기침체로 자치단체 재정 형편이 어렵다. 쓸 곳은 많은 데 쓸 수 있는 예산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무리 살림이 어렵다고 해도 장애인과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등 어렵고 힘든 이웃들이 예산 삭감의 첫 피해자가 되서는 안 될 일이다. 포퓰리즘성 복지예산은 경계를 해야 하지만 우리 주변의 소외계층에 대한 복지를 외면해서는 안된다.

장애인들의 교통편의 대책 마련 요구가 부담되고 껄끄럽다고 이들과의 면담을 피한다고 해서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

파주시처럼 소통을 통해 어려운 점을 이해하고 조금씩 양보를 해 모두가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첫 걸음이 되길 기대해 본다.

파주=박상돈기자 psd1611@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