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사회사업과 사회복지

첫 직장에 출근하고 며칠 지나서 책상에 사회사업가 선수경이라는 명함을 통해 이제 나도 전문 사회사업가로 일할 수 있다는 생각에 가슴 설렌 적이 있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몇몇 대학만이 사회사업학과의 명맥을 이어가지만 당시만 해도 사회사업학과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사회복지 관련 학과에 입학해서 중간고사 시험문제 중 ‘사회사업과 사회복지를 비교하라’는 문제가 단골메뉴가 되었고 지금도 그 기본적인 학문적 바탕의 중요성으로 빠지지 않는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복지의 주체와 대상자 그리고 성격과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비교를 통해 서로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완성된 복지를 만드는 것이라는 내용을 인식하게 하는 문제이다. 즉, 복지의 주체가 개인이나 단체에 머물지 않고 국가가 그 범주에 포함되고 사후적인 치료성격과 사전적 예방성격을 구분하며 정책적, 행정적 채널을 통해 대상자 역시도 서비스가 필요한 계층뿐 아니라 모든 국민이 골고루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느냐의 차이를 이해하는 문제이다.

정부에서도 사후적이고 치료의 성격이 강한 잔여적 복지에서 사전적이고 예방적인 성격이 강한 보편적 복지의 정책들을 복지 포플리즘이라 할 정도로 복지수혜의 대상계층을 가리지 않고 양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편적 복지로의 길목에서 첫 번째 시험무대가 된 무상보육에 따른 재정적인 문제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9월을 전후해서 예산 부족으로 지원이 끊일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는 것을 볼 때 조금은 더디더라도 예측할 수 있는 문제를 보완해서 시행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이렇듯 사회사업의 선별적 성격의 복지에서 보편적 성격의 사회복지로의 변화는 시대적 흐름의 반영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대학이 사회사업학과에서 사회복지학과로 전환했고 이제 사회복지 실천방법론에 역점을 둔 몇몇 대학만이 그 명목을 유지하고 있다. 이제 사회복지현장에 종사자들의 명함에도 사회사업가에서 사회복지사로 거듭나 이 사회가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잔여적 복지 즉 선별적 복지 성격의 사회사업에서 이제 보편적 복지의 성격이 강한 사회복지로의 방향 전환을 국가가 선택했다고 본다. 하지만 사회복지는 단순히 국가의 정책변화가 아닌 진정한 분배적 갈등을 해소하고 도움이 필요한 서비스 대상자에겐 사회복지 실천에 입각한 지원과 관심이 지속돼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이 모든 국민이 체감하는 복지국가, 행복한 대한민국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선수경 한국사회복지행정 연구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