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신 팽배 ‘김포한강시네폴리스’ 여전히 평행선

시·도시공사·대책위 협의 사업자 재공모ㆍSPC 대안 
주민들 “재산권 피해 연장” 보상 대책 계획 못믿겠다

김포한강시네폴리스 사업이 난항을 겪는 가운데 사업을 추진하려는 김포시와 사업철회를 촉구하는 지역주민 입장차가 전혀 좁혀지지 않고 있다.

17일 김포시와 도시공사, 사업지구 주민대책위 등에 따르면 3자는 지난 16일 오후 시청 상황실에서 김포한강시네폴리스 사업 대책 마련을 위해 머리를 맞댔지만 서로의 입장만 재확인,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시는 이날 회의에서 “지난 2월28일 우선협상 대상자 자격박탈 이후, 사업 재검토 용역에 착수해 오는 8월까지 사업자 재공모와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한 뒤 9월 특수목적 법인설립(SPC)에 이어 11월부터 보상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시는 “사업 재검토는 우선협상 대상자의 사업수행 능력과 시장상황 변화 등을 감안한 조치”라며 “투자 유도를 위해 공모지침 조항을 변경, 차질없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주민들의 이해를 구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올해 6월 보상이 시작 될 것이라는 기대에 지난 3년 동안 행위제한으로 인한 재산권 피해를 감수해 왔으며 재공모를 통해 사업을 다시 추진하더라도 사업 참여 기업이 없어 시간만 낭비한 채 주민 피해만 커질 것이라며 기존 사업 반대입장을 나타냈다.

박유진 주민대책위원장은 “수 차례에 걸쳐 보상을 약속했지만 지키지 못하고 주민들의 희생만 강요해 온 시와 도시공사의 그간 행정에 대해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며 “사업 재공모는 안 되는 사업을 끌어가기 위한 꼼수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사업 철회를 촉구했다.

또한 이한영 부위원장은 “개발 바람에 공시지가가 낮아진데다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묶여 농민들은 2중, 3중의 고통을 받고 있다”며 “피해보상에 대한 대책없이 다시 기다려 달라는 것은 시민들만 고통을 감내하라는 것”이라고 강한 불만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사업부지 내에서 공장을 운영 중인 한 주민은 “시가 몇 차례 밝힌 보상 스케줄만 믿고 융자를 받아 공장을 이전한 공장들은 보상이 지연돼 이자를 감당하지 못해 경매에 붙여지거나 도산할 처지에 놓여 있다”면서 사업지연에 대한 피해보상 문제에 대한 구체적 해결방안 제시를 요구해 시와 도시공사 관계자들을 곤혹스럽게 했다.

한편, 이날 대책회의에 참석한 유영록 시장은 주민들의 사업반대 주장이 거듭되자 “특수목적법인 설립이 안 될 경우 사업포기 여부를 결정짓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혀 최종 사업포기로 이어질 지 주목되고 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