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여성친화도시에 거는 기대

최근 아동과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성폭력 문제가 연일 언론을 달구고 있다. 새 정부도 성폭력을 4대 사회악으로 규정하고, 이를 근절하기 위한 추진 본부와 성폭력 특별수사대를 발족시켜서 민생안정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서구 일부 국가에서는 일찍이 ‘여성친화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캐나다의 경우 몬트리올과 토론토에서는 일몰 후에는 버스정류장 사이라 해도 여성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에 가까운 곳에 정차 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어찌 보면 작은 배려이겠으나 이러한 사소함이 모이면 사회적 약자들의 안전은 분명 더 나아질 수 있다. 여성친화도시란 과연 무엇일까. 근대 이후 우리나라의 도시정책은 성장과 효율성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로 인해 도시의 외형은 크게 성장하였으나 범죄나 환경과 같은 각종 도시문제 또한 심각해졌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의 도시정책은 사람 중심적이고 인간친화적인 도시, 즉 주민의 삶의 질을 함께 생각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의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여성친화도시란 이러한 ‘사람중심’, ‘인간친화적’ 도시와 일맥상통 한다. 사회적 약자들에게 불평등이 없는 도시구조인 것이다. 여성가족부는 여성친화도시를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동등한 참여와 혜택의 분배를 보장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성별차이가 없도록 하는 지역’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는 여성을 배려한 무장애공간이라는 소극적 의미를 넘어 인종이나 성별 연령에 대한 차별 없이 교육받고 일하고 소통할 수 있는 보편적 시민권이 보장되는 공간이라는 적극적인 의미가 내포 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지역 정책을 수립하고 전개하는 과정에 여성의 참여를 확대하고, 그 혜택이 남녀 모든 주민에게 고루 돌아가도록 한다면 궁극적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여성친화도시의 전략이다. 김포신도시가 개발될 때 이미 2006년 도시개발계획에 대한 성별영향평가가 실시되었고, 그 이후 행정중심복합도시를 비롯하여 대구, 수원 광교 등 신도시 개발시 ‘여성친화’가 큰 이슈가 되었다.

앞으로 각 지자체가 도시정책을 수립할 때 지속 가능한 여성친화적 도시발전전략을 기반으로 한다면 압축적 도시화에 따른 폐해를 극복하면서도 도시화의 긍정적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성들이 일상생활을 하는 데 불편함을 최소화하자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여성친화도시가 도시 하드웨어의 개선이라는 외형적 성과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양성평등 사회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을 그날을 기대한다.

김 영 혜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