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카페] 지역축제를 다시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몇몇 축제는 지역 간의 연계성을 배제한 채 지역의 개별성을 강조한 저마다의 테마를 가지고 만들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방화시대를 맞이하여 지자체들이 지역을 알리고 주민의 화합과 공감대를 이루기 위해서 앞을 다투어 지역축제를 개발하거나 되살린 결과이다. 이러한 양상은 오히려 지역 축제간의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비슷한 프로그램의 유사한 축제가 난립함으로써 지역특성이 오히려 감소하는 패러독스를 양산해 온 것도 사실이다. 지역축제간의 등질화(等質化)와 겉치레적 일회성 행사들이 부수적으로 따라붙고 집안잔치라는 비난이 끊이지 않으며, 예산낭비라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지역축제는 협소한 지역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인식하에 지역문화의 증진과 상호교류보다는 상업주의를 바탕에 깐 지역 이기주의의 변종형태로 나타나고 있기도 하다. 아울러 관광진흥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목적으로 기획되다보니 거창한 청사진에 비하여 상술(商術)이 만연하고 내용이 빈약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렇게 볼 때 요즘 우리가 자주 듣는 ‘축제공화국’이라는 말은 권역별, 지역별 축제들을 비교했을 때 동일한 유형의 축제들이 광범위하게 분포한다는 점과, 1990년대 이후에 나타난 수많은 축제가 스스로 자신의 경쟁력과 차별성을 지니지 못한 채, 그 나마의 희소성마저도 다른 지역과 그 매력을 공유해야하는 상황이 만들어 낸 자조(自嘲)적 표현에 다름 아닐 것이다.

그래서 오늘날의 지역축제는 전통과 현대의 조화, 집단적 신명과 개인적 고취,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생산성 제고와 관광 진흥이라는 모토아래 축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한 재점검의 시기에 도래해 있다.

사실 오늘날의 축제는 고도의 마케팅 전략에 의해서 지역의 소득창출과 고용증대는 물론 경제기반과 문화적 토대를 강화시킴으로써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 결과 지역에 대한 자긍심을 제고시키고 시민의식을 향상시킴으로써 지역홍보와 교육적 효과까지 부수적으로 따라오게 된다.

오늘날 몇몇 지자체들에 의한 성공적인 축제들이 문화산업 및 문화예술의 활성화를 추동함으로써, 지역경제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은 축제의 순기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될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낙관적 자평 뒤에 늘 개운치 않은 뒷맛이 있음이 문제다.

지자체가 지역 전문 인력의 육성이나 활용에 등한시 한 채 전문가를 자처하는 외부업자나 행정주체와 연이 있는 무능한 지역 업체에게 일을 맡기다 보니, 행사의 기회 단계부터 진행, 결과에 이르는 시공간적 서사과정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축제의 목표설정 및 이미지 정립이 추상적으로 진행됨으로써 행사장 수용체계의 관리가 부실하고, 객관적 사후평가 역시 아전인수 격이 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이제는 축제가 가진 사회문화적 관성을 염두에 두되, 이에 대한 패러다임은 바꿀 때가 되었다. ‘우리가 최고다’라고 하는 자폐적 발상보다는 축제지 간의 통합이나 상호 네트워크 연결,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형태 등 정보화시대에 걸맞은 축제형태를 고려해야 할 때다. 수원문화재단이 주관하는 ‘수원화성문화제’가 가장 고민하는 것이 이 부분이다.

역사적ㆍ지리적ㆍ문화적 연대성이 같은 수원시·화성시·오산시의 지역정체성 회복과 미래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작년 수원화성문화제 단위행사를 공동으로 추진하는 것도 이의 일환일 것이다. 수원화성문화제는 향토 민속과 지역 문화예술의 전통을 다지며 애향심을 고취시키는 대표적인 지역 문화예술축제로 자리매김 되어가고 있다. 금년 가을 50회를 맞는 이 축제는 시의적절한 목표설정과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고 있는 중이다.

이 경 모 수원문화재단 문화사업본부장 (예술학박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