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오래 손안에 붙들어서 꽃을 불러오고 나비를 날게 하고 하늘위에 구름도 띄우는 동안 그녀는 몰입, 자기도 모르는 세상을 보았을지도 모르는 일. 그것은 아마도 겨울 지나 봄이 오는 그 얼음의 시간 속에 꽃들은 엄연히 존재하고 있었던 것과 다름이 없으리라. 누가 알랴, 겨울은 꽃들을 데려오기 위래서 그 길고 추운 시간을 맨발로 견디고 있었다는 것을.
이번 겨울 추위는 참으로 절절해서 절대로 봄이 오지 않을 것만 같았다. 하루걸러 눈 오시고, 하늘은 삼한사온도 잊으신 듯 연일 땅은 꽝꽝 얼어서, 내 집에서 옆집까지도 천 리 길이었다. 내가 사는 용인 모현면의 초부리는 깊은 시골이어서 겨우내 사람의 그림자구경도 힘들었다. 밤새 눈 내리고 아침에 창문을 열면 설국! 그것은 세상의 모든 소리와 모습과 사람의 죄까지도 침묵! 그 속에 고요히 침잠하는 모습이었다. 밤이 오면 물먹은 하늘도 얼어붙어서 그 깜깜 속에 별들은 눈만 깜빡, 깜빡. 그것은 마치 시간을 결박하는 이상한 동화처럼 삶과 죽음이 한 덩어리로 형형한 우주의 초월을 보는 듯했다.
그런 것들을 골똘하게 생각하며 내가 매일 다니는 산책길, 고양이 한 마리 얼어 죽어 있었다. 긴 겨울 정수리쯤의 일이었다. 고양이는 손수건만 한 볕뉘 위에 앞발 뒷발 꽃잎처럼 포개 누워있었다. 추운 발은 저절로 고양이를 외면하고 나만의 길을 동동질치며 걷곤 했다.
그러기를 일주일째 꿈자리 영 뒤숭숭했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맨발. 그 뒤로는 깜깜한 시냇물이 흐르고 죽은 자의 발목 위에 또 발목. 그 아래 맨발. 산 사람의 모습에서는 도무지 찾을 수 없는 이상한 모습으로 아버지는 매일 나를 찾아오셨다. 원래 죽은 자의 어법은 겨울의 언어를 닮아서 소리가 없는 법. 그래서 겨울을 잘 견디면서, 결빙의 시간을 오래 지켜봤던 사람은 죽은 자의 침묵도 소리로 알아듣는 법이라는데. 그런 경지는 꿈도 꾸지 못하는 나는, 도무지 어지러운 시간 속을 헤매는 수 외에는 도리가 없었다. 긴 겨울은 그렇게 얼어붙은 마음으로 사람의 주위를 빙빙 돌고 돌았다.
나는 내 잠이나 실컷 재울 속셈으로 삽 한 자루 배낭에 지고 길 나섰다. 그날도 눈발은 훨훨 날렸던가. 그렇게 고양이 한 마리 무덤 하나 지어주었다. 빈손으로 가볍게 주검의 무게를 받아 땅속에 다독다독 꽃씨 하나 묻었다. 꽃 한 송이 자장자장 재웠다. 순한 짐승의 숨소리 들리는 듯했다. 어쩌면 꽃들이 돌아오는 소리? 흙에서 사람의 살 냄새 풍겼다.
그렇게 겨울의 긴 침묵이 끝이 나고 기러기들 남쪽으로 모두 날아간 때. 고양이 무덤 위에 새순이 반짝, 했다. 언뜻, 아직은 눈에 가득 차진 않지만 저것은 흙을 헤치고 먼 길 돌아온 자연의 당당함이리라. 신기해서 그 자리에 앉아 맨손으로 흙을 다독다독 다듬었다.
아직은 겨울의 냉기 손바닥으로 올라왔다. 그래도 그것은 생명의 소리처럼 경이었다. 동네 사람들 모두 약속이나 한 듯 밭으로 나와 흙을 갈아엎는 오늘, 내 친구 수용이의 순연한 바느질처럼 머지않아 저 속으로도 꽃과 나비와 벌들이 무진장 찾아들리라. 그것들을 위해서 겨울은 춥고 긴긴 밤과 낮을 속수무책 견뎠으리라. 갑자기 세상이 환해지면서 겨울아, 고맙다, 수고했다!.
손 현 숙 시인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