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전임교원·장학금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 교원 1인당 논문 0.15편… 국공립대 평균의 절반 수준
인천대학교가 자체평가에서 ‘우수’ 등급을 받았지만, 교수들의 SCI급 논문 실적이나 전임교원 확보 등 앞으로 지역 거점 국립대로서의 역할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인천대의 SCI급 논문 수는 지난 2009년 38.6편에서 2010년 33.9편, 2011년 41편, 지난해 58.3편(교원 1인당 0.15편)으로 전국 국공립 평균 194.8편(1인당 0.31편)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SIC급 논문은 각종 외부 평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 만큼, 교수당 SCI급 논문 실적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정부나 기업 등 외부 연구를 유치한 실적인 교외 연구비가 3천189만 원으로 국공립대 평균(8천546만 원)의 30%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반면 교내 연구비는 국공립대 평균(490만 원)보다 많은 575만 원 수준이다. 연구 유치는 못 하고, 대학 자체 예산으로 진행되는 연구만 하는 셈이다.
또 각종 재정지원사업은 매년 소폭 늘어나 지난해 1천649만 원을 기록했지만, 여전히 국공립대 평균(4천138만 원)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치다.
게다가 산학연계를 들여다볼 수 있는 기술이전 수입이나 계약 실적은 지난해 17건에 1억 150만 원을 기록했지만, 금액 적으로 국공립 평균 5억 8천885만 원에 비해 크게 낮아 앞으로 대학 보유 기술 축적을 위한 대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글로벌 시대에 발맞춰 외국인 교수와 학생 비율을 끌어올리는 것도 시급한 문제다. 인천대는 2009~2011년까지 외국인 교수가 단 1명이다가 지난해 2명(비율 0.5%)으로 늘어 국공립대 평균 비율 1.2에 비해 크게 낮다. 외국인 학생 비율도 지난 2010년 1.7%에서 2011년 1.4%, 지난해 1.2%로 계속 줄어 대학 국제화에 뒷걸음치고 있다.
취업률은 2009년 64%에서 2010년 54.5%, 2011년 54.8%, 지난해 54.2%로 매년 제자리걸음이어서 대학 차원의 중·장기 대책이 필요하다.
인천대 관계자는 “올해 국립대 전환을 계기로 이번 평가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대학 역량을 집중하는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