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33만㎡ 제공 불투명 관련예산 250억원도 삭감
인천대 일부 교수와 학생들이 ‘인천시와 정부의 지원이 애초 약속과 다르다’고 반발하며 총장실을 폐쇄했다.
인천대 교수, 학생, 직원, 총동문회 등으로 구성된 ‘인천대 법인정상화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국립대 출범 첫날인 지난 18일 오전 본관 총장실 출입문 2곳을 ‘폐쇄’라고 쓰인 천으로 막았다.
비대위는 정부가 ‘인천대를 거점 국립대학 법인으로 지정하고 각종 지원을 한다’는 내용의 인천대 특별법에도 불구하고 거의 지원을 하지 않고 있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또 시가 애초 송도국제도시 11공구 33만여㎡를 제공하기로 약속했던 것을 ‘R&D 기관을 유치할 때에만 제공한다’는 조건부로 바꾼데다, 현 송도캠퍼스 부지도 경제청과 협의한 뒤 지원하는 것으로 미룬 것도 문제 삼았다.
비대위는 지난해 말 정부가 인천대의 국립대 전환 전략 사업비 요구액 250억원을 삭감하자 ‘제대로 법인화를 하지 못할 바에야 충분한 재원을 확보할 때까지 유보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국비 확보도 무산되고, 인천대가 부채로 운영비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자 법인화 조건으로 약속했던 등록금 5% 인하, 우수 교수진 확보, 국립대에 걸맞은 학생복지 등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여 학생들의 반발이 거세질 전망이다.
비대위는 시와 정부가 납득할 만한 지원책을 내놓지 않으면 농성 등 투쟁 수위를 높이겠다고 경고했다.
김용민 비대위 공동위원장은 “국립대라면서 국고 지원은 한 푼도 없고, 시도 약속을 지키지 않아 항의 표시로 총장실을 폐쇄했다”면서 “앞으로 투쟁 방향을 논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대 관계자는 “예산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것이 아쉽긴 하지만,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면서 “수익사업을 활성화하고 2014년에는 정상적으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