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덕포진 누리마을 등 7개 대응투자비 전액 삭감… 차질 불가피
김포시가 국·도비 지원이 확정된 사업의 대응투자로 세운 시비 전액을 시의회가 삭감, 사업추진에 막대한 차질을 빚고 있다.
16일 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시의회는 올해 예산을 심의하면서 37억원의 국비를 비롯해 모두 50억원 규모의 국·도비 지원이 확정된 ‘덕포진 누리마을 조성사업’과 ‘한강어촌체험장 조성사업’ 등 7개 사업의 올해 시 예산 2억6천400여만원을 전액 삭감했다.
이로 인해 이들 사업의 개발용역과 인·허가 등 사업 초기에 밟아야 할 절차가 올 스톱되는 등 시작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덕포진 누리마을 조성사업은 문화재 및 군사보호 등으로 규제를 받아 온 지역에 통일·환경·농촌테마의 체험관광마을을 조성해 접경지역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김포시가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공모에 참여해 선정된 사업이다.
이에 시는 국비 25억원과 도비 1억5천만원, 시비 3억5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올해부터 오는 2016년까지 대곶면 덕포진 인근의 신안1·2리 일원에 전통떡 가공시설, 체험장(모내기, 생태하천습지 등), 로컬푸드 판매장, 청소년(가족)야영장, 쉼터 등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시의회에서 올해 필요한 시비 8천800만원을 전액 삭감, 신안리 누리마을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할 수 없게 됐다.
한강어촌체험장 조성사업도 올해부터 2016년까지 4년 동안 국비 15억원과 도비 8천800만원, 시비 2억1천200만원 등 모두 15억원을 투입할 계획이지만 올해 시 예산 5천300만원이 삭감돼 사업에 착수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도비가 확정된 민간 박물관 지원, 용화사 용화전 개보수, 수산물 포장재 지원사업 등도 시비가 모두 삭감, 사업추진이 중단된 상태다.
시 관계자는 “국·도비가 지원되는 사업은 시의 대응투자가 필수적인데 시비가 모두 삭감돼 다소 차질이 예상된다”며 “하지만 오는 4월 1차 추경 때 시비를 확보해 차질을 최소화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승현 의원은 “한강어촌체험장 조성사업은 한강하구 관리청인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과 협의를 거쳐야 하는 절차를 이행치 않아 이를 보완후 추진토록 시 예산을 삭감했다”며 “다른 사업에 대해선 추경 때 예산확보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