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수용않던 LH 사업개선안 10가지 보상조건 전격수용
의정부시가 내년 보상을 전제로 LH가 사전동의를 요구하고 있는 고산 보금자리지구 사업개선안 10가지를 전격 수용하면서 내년 보상여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안병용 의정부시장은 12일 기자회견을 갖고 “LH가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올 상반기부터 제시한 10가지를 받아들이는 대신 오는 12월 지장물 조사 등 보상절차에 나서고 내년 상반기안으로 보상을 완료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요구를 수용했는데도 내년 보상을 이행치 않으면 시와 주민을 기만한 것으로 간주하고 중대결심을 하겠다”고 LH의 조기보상 결심을 거듭 촉구했다.
안 시장은 이와 함께 오는 14일 있을 LH, 의정부시,고산지구 주민 대표등 3자 실무협의서 이같은 내용을 전달하고 문서화해 줄 것과 이번주 안으로 이지송 LH 사장에게도 공문을 보내겠다고 강조했다.
안 시장은 “LH 사업개선안에 포함된 SOC사업들은 애초 지구지정 신청 당시 시의 의지와 상관없이 LH가 제시해 국토해양부 심의를 거쳐 결정된 사안으로 그동안 같은 절차를 밟아줄 것을 요구했으나 보상지연으로 주민들의 피해가 켜져 전격 수용한다”고 설명했다.
LH는 주민들이 조기보상, 착공을 원하자 사업성이 떨어진다며 애초 계획에 포함된 고산지구까지 경전철 연장(1.4㎞)철회를 비롯해 , 34.5%의 녹지율을 27.0%로 낮추고 하수처리장 신설을 기존 민락 2지구 처리장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등 모두 10가지를 제시해왔다.
사업개선안이 받아들여지면 LH는 모두 2천200억원 가량이 절감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주민들은 의정부시가 조건을 내세우며 LH 개선안을 수용하지 않자 지난 7일부터 시청 앞에서 천막철야 농성을 벌이고 있다.
고산지구 주민대책위원장은 “LH의 보상계획 발표를 믿고 대토마련 등 대출을 일으킨 주민이 230명에 대출액만 800억원에 이르는 등 피해가 막심하다”며 “LH는 사업개선안을 의정부시가 받아들이면 조기보상에 나선다고 했다”고 밝혔다.
한편 고산지구는 고산동 일대 130만㎡로 시와 주민들의 반대에도 지난 2008년 국민입대 주택예정단지로 지정됐다가 2011년 11월 보금자리주택지구로 변경됐다. 사업기간은 2014년 12월 31일까지다.
의정부=김동일기자 53520@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