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 주민 미군 잔류 논의에 '성났다'

시의회 비대위 내달7일 반환촉구 10만 서명운동 돌입

 정부가 미2사단을 연합부대로 개편, 일부 기지를 평택으로 이전하는 대신 잔류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동두천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동두천시의회 의원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임상오)는 다음달 7일 보산동 미2사단 정문 앞에서 ‘동두천 미군기지 반환 촉구 범국민 10만 서명운동 선포식'을 연다고 26일 밝혔다.

 지난7월 시의원 7명 전원으로 비대위를 구성한 시의회는 그동안 기초 조사, 추진 계획 등 대응 방안을 마련해왔다.

 미2사단 일부 부대의 잔류 논의가 한·미간에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 지난 6월 언론 보도로 알려지자 시의원들은 당시 국방부 앞에서 '미2사단 일방적 재배치 계획 철회'를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비대위를 구성했다.

 선포식에는 정성호 국회의원, 오세창 시장, 도의원, 시의원 등 지역 정치인과 시민·사회단체 회원, 주민 등 500여명이 참석한다.

 비대위는 애초 계획대로 미2사단 평택 이전, 지역 내 미군기지 동두천 반환, 평택과 동등한 정부의 예산 지원, 공여지특별법에 별도의 지원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는 선포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비대위는 가두서명, 사이버 서명, 국토종단 서명운동 등을 통해 범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방침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군 주둔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 조사도 한다.

 비대위는 서명운동과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국회에 공여지특별법 개정을 강력히 요구하기로 했다.

 임상오 비대위위원장은 "정부가 미군기지 이전 대상인 평택과 반환된 용산 미군기지에는 막대한 예산을 지원하면서 동두천에는 미군기지 잔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는 형평성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동두천 주민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동두천시 전체면적(95.68㎢)의 42%(40.63㎢)가 반환대상 미군 공여지로 모두 평택 이전 대상이었다. 그러나 기지 반환이 미뤄지며 동두천에 주둔한 미군기지 6곳 가운데 캠프 님블 1곳만 반환돼 침례신학대 캠퍼스 조성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