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위원 ‘열판매 방식 전환’ 면밀 검토 선행 요구… 또 다시 유보
이천시를 비롯한 동부권 5개 시·군이 운영비 절감과 수익성 증대 등을 위해 1년 전부터 추진해 왔던 광역자원회수시설(소각장) 열판매 방식 전환사업이 장기간 표류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소각장 일부 운영위원들이 섣부른 열판매 방식전환 확정에 반대의견을 보이며 현장 조사 및 전문가 의견을 요구, 또다시 사업을 유보시켰기 때문이다.
동부권광역자원회수시설 공동설치·운영위원회는 지난 17일 이천 소각장 회의실에서 제21차 회의를 갖고 열판매 방식 전환 등을 논의했으나 일부 절차상의 문제에 봉착, 사업 확정을 뒤로 미뤘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일부 운영위원들은 업체 설명 등의 과정이 누락됐다며 현장 조사 및 전문가 의견 청취 후 사업을 확정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일부 운영위원들은 “장기적으로 스팀 공급방식의 열판매 전환시 리스크에 대한 면밀한 분석 등 종합적 검토가 선행돼야 할 것”이라며 “지난 20차 회의때 논의·결정됐던 과정들이 진행되지 않아 유감이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매년 운영비 지원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천, 여주, 양평, 광주, 하남 등 5개 시·군의 고충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5개 시·군은 이천 12억원을 비롯해 연간 48억원 안팎에 달하는 운영비를 지원해 왔다.
이천시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이를 열판매 방식으로 전환할 경우 처리비용이 t당 6만원에서 4만1천원 이하로 줄어 들면서 15억원 정도 추가 수익이 발생, 그만큼 운영비용을 줄일 수 있다.
결국 시·군 운영비 출연액이 줄어 결국 주민에게 돌아가는 주변영향지역주민지원기금 감소액이 2억6천여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5개 시·군 관계자는 “매년 증가되는 운영비를 추경에 편성하려면 재정형편상 만만치가 않다”면서 “원칙적으로는 모두가 공감하고 있는 사업인 만큼 빠르게 사업이 확정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