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주인공은 가평군청 기획관리실 김성재 주무관(33)
기획담당을 맡고 있는 김주무관은 현행 수도권 정비계획법상 자연보전권역 내 3만㎥이상 6만㎥이하 면적을 가진 토지일 경우 준 산업단지 지정이 가능하나 10만㎥이상 토지에 대해 지자체에서 단지조성의 필요한 기반시설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제도가 불합리하고 지역실정에 부합되지 않아 지역발전 및 경제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판단 경기도에 제도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김 주무관은 지역여건상 가평군은 수도권정비계획법을 비롯한 각종규제로 대학설립은 물론 공장건립등 대규모건축물건립이 불가능해 인구유입이 어려운 낙후지역으로 준 산업단지 설립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여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자연보전권 내 4만㎥이상 낙후지역의 준산업단지조성에 필요한 도로를 비롯 상하수도 전기통신및 기반시설을 지자체에서 지원토록하여 일정규모의 단지조성을 지원하는 법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김주무관의 현실성 있는 제안을 수용,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자연보전권역에 준 산업단지 지정을 10만㎥이상으로 규제했던 현행제도에서 4만㎥이상규모부터 지자체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시행령 입법을 추진하게 했다.
이와 같은 김 주무관의 창의적이고 설득력있는 제안으로 시행령개정이 추진됨에 따라 4만㎥이상 규모의 준 산업단지조성이 가능해 기업 및 투자유치의 가속도가 붙어 무분별한 난개발을 방지하고 환경과 경제가 순환하는 기업하기 좋은 지역으로 토지이용율을 향상시켜 기업유치를 통한 주민삶의 질적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난2007년 공직에 입문한 김 주무관은 평소 창의성과 강한 추진력 및 책임감과 항상 연구하고 기획하는 탁월한 업무능력으로 부서별 기본통계를 비롯 일반현황 군정자료 등 250여 항목을 개량화한 가평군정지표 및 현황을 만들어 군정정책수립과 성과분석 등의 활용토록하는 등 업무시간절약 및 군정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한편 지난해 9월 제출한 준 산업단지 제도개선안이 경기도의 각부서별 업무협의를 통해 지난 6월14일 경기도 규제 개혁위원회에서 우수작으로 선정 시행령개정 추진과 함께 100만원의 시상금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가평=고창수기자chkh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