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 광역자원회수시설 재위탁 골머리

양주시가 광역자원회수시설(소각장)의 위탁기간 만료일이 다가오면서 재위탁 여부를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9일 양주시에 따르면 양주시와 동두천시는 지난 2010년 공사비 818억원(국비 75%)을 들여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 4만6천600여㎡에 1일 처리용량 200t 규모의 양주권 광역자원회수시설을 건립했다.

 

이후 시는 특수목적법인(SPC)인 양주하모니환경㈜과 3년 기한의 운영 위탁계약을 체결했다. 자원회수시설의 위탁종료 시점은 내년 1월 7일로, 위탁 만료 1년전에 재계약 여부를 통보해야 한다.

 

이에 시는 자원회수시설을 직접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나, 기술 이전 등의 문제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시설을 독자 운영하려면 기술 이전이 우선돼야 하지만, 이 시설은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일본 미쓰이조선이 독자 개발한 로타리킬른가스화 용융 소각방식으로 제작돼 기술 확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양주하모니환경㈜이 해당 기술에 대한 독점적 우위를 점하고 있어 기술 이전도 순탄치 않은 상황이다.

 

시는 기술 이전을 위해 지난해 8월 자원회수시설 TF팀을 신설하고 운영 전반에 대한 실태파악에 나섰으나, 양주하모니환경 측이 자료 제출을 거부하는 등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하면서 결국 실패했다.

 

여기에 지난 2010년 양주하모니환경이 사업비 증가분과 법인세 등 104억8천여만원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하면서 관계마저 악화된 상태다.

 

이와 관련 양주시 관계자는 “기술 이전 등의 문제로 시가 독자적으로 시설을 운영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태”라며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major01@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