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강 프로젝트’로 도시 이미지 UP
이석우 남양주시장은 2012년 새해에 남양주시의 대표적 지방하천인 왕숙천을 미래형 하천으로 조성해 도시 이미지를 높이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여 도시 경쟁력을 제고해 나가는 사업으로 일명 ‘왕의 강 프로젝트’ 추진을 계획하고 있다.
‘왕의 강 프로젝트’가 추구하는 것은 ‘생태적인 하천’, ‘재해로부터 안전한 하천’, ‘사람과 소통하는 친수 공간’, ‘역사와 문화가 살아 있는 하천’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런 계획은 시민들이 직접 참여해서 기획과 집행, 모니터링 등을 실시하게 할 예정이다.
또 이미 지난 해 서강대학교 남양주 캠퍼스 유치를 위한 사전조치로 훼손지 복구계획 협의를 완료하고, GB해제 주민공람 공고 등의 행정절차를 완료하는 등 교육과 문화도시로의 발돋움을 위한 기반 조성의 기초를 준비했다.
시는 올해 말쯤이면 서강대학교 유치의 구체적인 모습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남양주시는 상명대학교를 호평동 일대에 유치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와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서강대, 상명대 유치가 이뤄지면 남양주시가 명실상부한 자족도시로서 면모를 갖출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주민 스스로 특색있는 명품 마을을 만드는 ‘지역공동체 형성을 통한 마을가꾸기’ 사업은 그 동안 ‘능내1리 연꽃체험마을’, ‘금남2리 꽃가람 공원’, ‘평내동 신바람 나눔우리 길’ 등 다양한 우수사례를 통해 시민참여 행정의 모범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올해 사업은 다음 달 초쯤 마을별로 사업공모를 할 예정으로 공모된 사업을 심사해 대상지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마을가꾸기 사업을 주민들이 전개하게 된다. 연말에는 진행된 사업들에 대한 콘테스트를 열고, 우수한 마을로 선정되면 인센티브를 더 제공해 많은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마을 가꾸기 사업은 좀 더 살기좋고 특색있는 마을을 직접 주민들이 만들어감으로서 지역 공동체를 형성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남양주시는 도농복합도시이기 때문에 농촌지역과 아파트지역의 공동체 의식 형성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올해에는 마을간 교류형 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이 외에도 전철 및 지선, 간선에 대한 미래형 첨담 교통시스템 사업, 도서관 확충, 어린이비전센터 건립 등 많은 중요사업들을 추진할 예정이다.
남양주=유창재기자 cjyo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