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7년 후인 2018년 ‘고령사회’, 2026 년 ‘초(超)고령사회’에 진입한다. 고령사회, 초고령사회에 도달하는 기간이 일본은 각각 24년·12년이었던 데 비해, 우리는 불과 18년·8년 만에 달성한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경험한 적이 없는 엄청난 속도다.
노인인구 증가는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양적·질적 변화를 촉발시키고 있다. 이미 경비와 청소, 식당, 택배 등 사회 기초분야에서 이들의 노동력은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보건복지가족부 관계자는 “전후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층에 편입되는 10년 후부터는 고학력과 전문성을 갖춘 노인들이 대거 등장해 일자리를 놓고 젊은 세대와 경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촛불집회 등 사회 현안을 놓고 댓글로 젊은이들과 사이버 논쟁을 벌이는 노인들 모습도 이제 낯설지 않다. 젊은이 못지않은 건강과 경제적 열세는 때로 노인범죄라는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과연 우리 사회는 이처럼 ‘새로운’ 노인들과 함께 살아갈 준비가 되어 있을까. 이 노인들은 어쩌면 ‘내일의 나’일지 모른다.
이처럼 평균 수명이 늘고 젊은이 못지않은 건강을 유지하면서 노인들의 욕구는 늘어나지만, 현실에서 이를 뒷받침해줄 ‘경제력’과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경제적 어려움’을 가장 큰 고민으로 꼽은 노인이 전체의 38%였다. 또 노인층의 57%가 취업을 원해도 실제 고용률은 31%다. 생활력이 없는 노인의 부양문제는 결국 젊은 세대들의 몫으로 돌아온다.
노인 부양에 들어가는 비용을 부담스러워하는 젊은 세대와 당연히 부양받아야 한다고 여기는 노인들 사이에 세대갈등이 조성될 가능성도 크다. 노인인구의 증가는 중장기적으로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특히 노인인구 전체가 곧 유권자들이기 때문에 이들의 ‘표’가 결집할 경우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제 노인들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 세대의 문제로 우리가 모두 국가, 지방자치단체, 지역사회, 개인 등이 함께 노인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다.
신현석 경기도의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