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지역에 산재해 있던 축구장 1천769개 면적의 미사용 미군공여지가 조기에 반환된다.
4일 한나라당 김성수 국회의원(양주·동두천)에 따르면 지난 2일 한미 양측이 미군 공여지 조기반환을 논의하기 위한 SOFA 한미시설분과위원회의 과제분할 합의문에 서명함에 따라 동두천지역의 미사용 공여지에 대한 반환논의가 급물살을 타게 됐다.
김 국회의원은 올해초 샤프 전 주한미군 사령관과의 만찬에서 동두천 지역의 미사용 미군공여지의 조속한 반환을 요청한데 이어 2월과 3월 재차 요청해 긍정적인 답변을 받아냈다.
이어 국방부, 외교부 등과 미사용 미군공여지의 반환문제를 논의한 결과 과제를 분할해 각각 처리하는 것이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보고 지난 7월 12일 한국측 시설분과위원회가 미측에 미사용 미군공여지 조기 반환을 위한 SOFA 과제 분할을 요청했다.
지난 9월 8일 미측 시설분과위원회가 과제분할을 위한 합의문을 제안한데 이어 지난달 25일 한미 시설분과위원회가 건의문을 합동위원회에 상정했다.
결국 지난 2일 한미 양측이 합의 건의문에 서명함에 따라 동두천 지역의 캠프 호비 등 미군의 영외 공여지 중 훈련장으로 사용 중이거나 향후 사용 예정인 부지를 제외한 1천262㎡(382만평·영외 공여지의 56%)의 우선 반환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한미 양측의 합의로 60년만에 최대 규모의 미군공여지 반환이 이뤄지게 됐다.
또한 영외 공여지에 포함돼 있는 동두천시의 복합화력발전소 사업부지도 반환을 추진할 수 있게 돼 주한미군의 평택기지 이전으로 공동화가 우려되던 동두천 지역의 지역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김 의원은 “국방부, 외교부, 미국측에 미사용 미군 공여지의 존재를 알려 미군공여지의 일부라도 빠른 시일 내 반환받으려는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이라며 “앞으로 반환받은 부지에 산업시설을 유치하는 등 동두천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 기자 major01@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