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역세권 개발 재공모 이번엔 성사되려나

양주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양주 역세권 개발사업’이 1차 공모에 참여한 기업이 포기하거나 탈락해 삐걱대고 있는 가운데 시가 2차 재공모에 나서 이번에는 성사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4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8년부터 1호선 경원선 양주역 주변 247만㎡에 고품격 주거단지와 법원 등 행정타운, 시민운동장 등을 건립하는 양주 역세권 개발사업을 추진해 왔다.

시는 소요사업비를 총 1조6천억원으로 추산하고 개발제한구역 해제는 공영개발 방식만 가능한 점을 감안, 공공 51%, 민간업체 49%가 참여하는 SPC를 설립, 시는 사업 시행자의 역할을 맡고 민간사업자는 자금조달, 기반시설 설치, 분양 등을 맡아 2012년 착공해 2015년 준공할 계획이었다.

지난 3월 실시한 민간사업자 공모에 참여한 포스코 계열사와 중견 건설사 등 5곳 가운데 저축은행 부실 등으로 건설 PF등이 불투명해지면서 3곳이 포기하고 만우산업개발 등 중소 규모의 2개 업체가 신청했으나 사업계획서 검토 과정에서 1군 건설업체와의 컨소시엄 미구성 등 충족요건을 갖추지 못해 지난 7월 모두 실격 처리됐다.

이에 시는 2일 역세권 개발에 따른 입찰조건을 대폭 완화하는 내용으로 2차 공모에 들어갔다.

시는 사업면적을 당초 247만㎡에서 145만4천250㎡로 대폭 축소하고 대신 사업자가 그린벨트 조정물량 범위 내에서 125만5천~247만7천㎡까지 자율 조정해 제시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추정 사업비를 1조5천억원에서 8천648억원으로 낮추고 국토해양부가 공시하는 시공능력 평가·공시 상위 15위 이내 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할 경우 사업계획서 평가시 가산점을 부여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공모에 자금조달 능력을 확보한 대형 시행사의 참여를 기대하고 있으나 최근 부동산경기 침체와 건설경기 불황 등으로 개발업체들이 선뜻 나설 지에 대해서는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재공모에는 입찰 조건을 대폭 완화하고 알짜배기 땅만 개발할 예정이어서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 기자 major01@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