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통합환승할인·버스노선조정 등 지지부진
의정부시가 경전철 개통을 불과 8개월여 앞둔 지금까지 수도권 통합환승할인, 버스노선조정 등 경전철 적자보전 및 활성화 대책을 확정짓지 못하고 있어 늑장 대응 우려를 키우고 있다.
16일 시에 따르면 시는 경전철 운영의 중요 변수인 수도권 통합환승 요금제를 일단 도입하기로 방침을 세우고, 활성화 방안 용역결과가 나오는 다음달 초 협상 방안을 결정지을 계획이다.
하지만 환승요금제를 도입하려면 경기도와 서울시, 인천시는 물론 서울메트로, 인천지하철, 여객운수업체 등 관련업체와도 개별협상을 벌여야 하기 때문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이들 지자체나 업체들은 요금체계 혼란과 정산체계 어려움, 적자폭 확대 등을 우려, 협상에 소극적으로 나설 것 예상돼 협상도 수월치 않을 전망이다.
더욱이 통합요금 환승제가 도입되지 않으면 이용객이 감소하고, 도입하면 경전철 운영 적자폭이 커지는 문제를 안고 있어 어느 쪽으로도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은 상태다.
환승 요금제를 도입할 경우 적자폭은 연간 250억원 정도로 단일요금제의 연간 116억여원(당초 7만9천49명의 60% 기준)에 비해 두 배 이상의 적자가 예상된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의정부 경전철과 같은 시스템으로 운행되는 김해 경전철이 당초 예상수요의 20% 정도로 적자보전에 비상이 걸리고, 용인 경전철은 운행조차 못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도나 정부에 보조를 요청하거나 김해시 등과 공동 대처하는 등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시민 강모씨(45)는 “시민들 사이에 용인과 김해가 경전철 문제 때문에 거덜나게 생겼다는 소문이 파다하다”며 “의정부도 같은 꼴 나는 것 아닌 지 걱정되는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경전철 활성화 용역이 이달 말이나 내달초에 나오면 이를 토대로 각종 활성화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김해·용인 경전철과는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9월에 개통된 김해 경전철의 이용객은 하루 평균 2만8천400명 정도로, 당초 예상수요 17만 6천명의 20% 정도에 불과해 김해시가 연간 700억원 정도를 보전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정부=김동일기자 53520@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