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1월 당시 농림부 산림국이 산림청으로 승격 발족한 후 치산녹화 10개년 계획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자 정부조직법을 개정하여 1973년 3월 산림청이 내무부 산하로 이관한 후 1987년 1월 1일 산림청이 내무부에서 농림수산부로 다시 이관되는 역사를 기억하는 분들이 많지 않을 것이다.
치산녹화 10개년 1차 계획(1973~1978년)을 무려 4년 앞당겨 목표를 달성하고 1979년부터 2차 10개년계획을 추진하였다. 2차 계획의 편성 기조는 1차 계획의 녹화위주에서 경제림 조성으로, 정신철학위주에서 기술보급 위주로, 타율적 참여에서 국민 총력 참여로, 규제위주에서 개발지원 위주로 변화하였다.
1988년부터 1997년까지를 기간으로 한 제3차 산림기본계획은 정부주도하의 녹화, 규제주의 임정에서 자율과 조장위주의 임정으로 기조를 전환하였다.
산림법 중심의 임정을 지양하고 임업진흥촉진법, 국유림활성화법 등 법률 다수를 입법화하여 다양한 분법화된 개별 법률에 의하여 적극적인 산림정책을 펼쳐나간 결과 이렇게 우리의 민둥산을 푸른 숲으로,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산림녹화의 성공신화를 이룩하였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인간의 잘못된 간섭이 자연으로부터 환경 대재앙을 부르고 있다. 특히 올해의 유별난 집중호우로 산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보면서 한없이 우리 인간에게 베풀기만 하던 숲이 화가 나면 우리의 소중한 것들을 한순간 빼앗아 갈 수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한다.
나무를 심기만 하면 자연이 고맙다고 할 줄 알았는데 그것이 아니었다. 우리는 무언가 숲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아닌가 되돌아 봐야 할 것 같다.
지난 여름 집중호우에 따른 우면산 산사태는 17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중부지방의 폭우로 서울에서 발생한 산사태는 무려 81건이나 되고, 춘천 팬션 산사태로 대학생이 사망하였으며, 방배동 산사태는 전원주택 8채가 매몰되고 2명이 숨졌다. 기상이변이 이젠 일상이 돼버리면서 자연재해도 예고 없이 찾아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우리의 삶과 무관치 않음을 너무나 잘 알고 있지만 앞으로 더욱 강해질 자연재해 앞에 두려움으로 떨고만 있어야 하는지 걱정이다.
산사태는 대부분 비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내렸을 때 발생한다. 여기에 폭우가 동반하면 불에 기름을 붓는 격이다. 계속되는 비로 흙이 물을 머금으면 그 무게 때문에 미끄러져 내려오는데 올해처럼 꾸준히 내리는 비가 그래서 무섭다.
이번 산사태 현장 중에는 기존에 있던 나무를 베어내고 팬션개발, 주말농장, 등산로 개발 등 무분별한 난개발이 재해를 부른 요인 중 하나인 곳이라는 언론의 지적이 많았다.
집중호우로 물먹은 토사를 잡아줘야 할 나무가 없어졌으니 산사태는 당연한 결과이다. 흙을 거미손처럼 잡고 있던 나무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절실히 깨닫게 된다.
나무는 이미 알고 있다. 숲에 메스를 가하면 어떻게 되는지를 인간에게 지속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었던 것이다. 절벽과 같이 경사가 급한 곳은 거미손처럼 소나무 뿌리가 흙을 거머쥐고 있다. 이처럼 장소에 따라 심는 나무의 종류를 달리해야 할 것이다. 잣나무가 소나무와 참나무에 비해 비교적(비교적을 삭제) 뿌리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얕다고 한다. 아마도 장소에 따라 토심이 깊거나 경사가 급하거나 산사태가 많이 나는 곳은 그에 맞는 적절한 수종을 선정하고 ‘산사태 위험관리시스템’ 등을 통해 재난계측과 경보전달체계를 갖춰야 할 것이다. 물론 맞춤형 처방전을 만들기 위해 당국의 끊임없는 연구와 체계적인 예방대책이 선행되어야 함은 당연지사이다.
우리는 60~70년대 벌거숭이산도 무너지지 않게 나무로 녹색 댐을 만들었던 저력을 가지고 있다. 기후변화, 자연재해로 생명과 재산을 잃고 슬픔에 몸서리치지만 이러한 어려움은 충분히 이겨내리라 생각한다.
청명한 가을이다. 지금이 내년 여름을 준비할 절호의 찬스다. 권두현 새마을중앙회 사무총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