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硏 이전… 지역균형발전에 역행”

안산시·시민단체, 서해권역 연구 공백·관련산업 동-남해권 집중 등 주장

안산지역 시민단체 등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해양연구원 이전에 반대하고 있는 가운데(본보 27일자 1면) 해양연구원 이전이 서해권역 연구 공백은 물론 지역 균형발전 취지에도 반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8일 안산시와 지역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해양연구원의 주요기능은 해양환경 및 기후변화 연구, 해양자원의 관리·이용·개발에 관한 연구로, 국내 해양과학 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연구원은 또 연안·항만공학 및 해양안전·운송시스템 관련 기술개발 등 해양개발과 보전을 위한 제도 연구와 해양과학기술정책 관련 등을 통해 국내 해양과학의 체계를 확립하는데도 일조하고 있다.

 

그러나 안산 해양연구원을 이전할 경우 청사뿐 아니라 특수연구 및 실험시설 등에 대한 이전이 완료되기까지 7년여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이 기간동안 국가연구개발 사업에 차질이 우려될 뿐 아니라 국내 서해권역 연구에도 공백이 예상된다.

 

특히 정부는 지역균형 발전이라는 명분으로 안산 해양연구원의 부산 이전을 추진하고 있으나, 남해안은 이미 거제에 연구원이 운영되고 있어 해양관련 국가산업이 동·남해권에 집중되는 등 지역균형발전 취지에도 역행한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해양연구 분야가 미래 신성장동력 중 하나로 꼽히면서 다른 국가에서도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에 이 같은 이전 사업이 추진될 경우 국내 해양연구가 다른 국가에 뒤쳐지는 등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주장도 잇따르고 있다.

 

또 태안 기름유출 사고와 천안함 사건 등 서해안에서 예기치 못한 해양 사건·사고가 발생할 경우 연구진과 장비가 부산에서 사고 지점까지 신속히 이동하기 어려운 문제도 제기됐다.

 

시 관계자는“해양연구원이 이전되면 시화호와 조력발전소 등 서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환경문제에 대처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산·학·연을 중심으로 구성된 안산 사이언스밸리에서도 해양연구원의 연구 참여를 기대하고 있는 상태”고 말했다.

 

한편 안산 해양연구원은 지난 2002년 안산 시화조력발전소가 설립될 수 있는 구심점 역할을 하는 등 중추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시민단체 등의 존치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