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지 침수·인접지역 피해 우려… 홍수량 재분석 등 수방대책 시급
개발이 진행 중인 양주 신도시가 국지성 호우에 대비한 수방대책이 전혀 검토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 따르면 지난 2007년 3월부터 양주시 옥정동, 회정동 등 10개 동 지역 1천142만4천㎡ 규모의 양주 신도시 택지개발사업이 오는 2013년 준공을 목표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신도시의 구조별 강우량 설계빈도는 저류지는 50년, 하수도는 5~20년 빈도로 설계돼 있다.
또 재해 저감시설로 영구 저류지 10개소, 임시 저류지 및 침사지 30개소 등이 설치될 예정이다.
그러나 지난 7월 말에 쏟아진 100년만의 기록적인 비에 대비한 방재대책은 전혀 세워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지난 7월과 같은 집중호우시 신도시 시가지 침수가 예상되고 인접한 동두천을 비롯한 신천범람 등 주변지역에도 영향을 줄 것이 우려되고 있다.
양주 신도시 빗물은 2~3㎞ 정도 떨어진 신천으로 빠진다.
이에 따라 도는 최근 집중호우 시 신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양주 신도시 첨두 홍수량 등을 다시 분석해 주변지역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방대책을 세워줄 것을 국토해양부에 건의했다.
도 관계자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일상화되고 있다”며 “특히 양주 신도시는 신천상류에 있어 집중호우에 대비하지 않으면 신도시는 물론 주변지역에 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의정부=김동일기자 53520@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