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梨大 파주캠퍼스 백지화’ 대응 온도차

市, 법적 대응 검토 등 강력 반발 - 道 “강제할 수 없는 입장” 미온적

이화여자대학교의 파주캠퍼스 백지화를 놓고 경기도와 파주시가 대조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

 

파주시는 법적 대응을 포함해 대규모 항의집회를 추진하는 등 강력하게 반발하는 반면 도는 유감을 표명만 했을 뿐 별다른 대응에 나서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17일 도와 파주시에 따르면 이화여대는 지난 2006년 10월 도와 파주시와 파주시 월롱면 영태리의 미군반환 공여지인 캠프 에드워드 등지에 교육·연구복합단지를 조성하기로 협약을 맺었다.

 

그러나 지난 10일 이화여대 관계자가 국방부와 이대측이 제시한 부지매입비가 큰 격차를 보이는 등의 문제로 “사업을 포기하는 것으로 결론을 냈다”고 밝히면서 이화여대의 파주캠퍼스 조성사업이 백지화됐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파주시는 즉각 대응에 나서 이대의 캠퍼스 조성 계획에 대한 공식 답변을 요구하면서 법적 대응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또 시는 월롱면 주민과 함께 오는 19일 오후 서울 이화여대 앞 신촌역 광장 등지에서 대규모 항의집회를 열고 파주캠퍼스 조성 사업 재개를 촉구하기로 하는 등 이대 캠퍼스 유치 무산에 대해 강력하게 대응하고 있다.

 

이와 함께 파주지역 도의원과 월롱면 지역 주민들은 조만간 경기도를 방문해 이대 파주캠퍼스의 정상추진을 위한 도 차원의 대응을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도는 지난 11일 “사실이라면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는 수준의 성명서만 발표했을 뿐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그동안 미군기지내 토양오염 정화사업에 도비를 지원하는 등 이대 파주캠퍼스 유치 과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던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라는 지적이다.

 

도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는 상황이고 협약을 체결했다고 해서 이대측에 사업을 강제할 수도 없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북부도의원협의회(회장 김경호)는 이날 오전 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대 캠퍼스 조성사업 포기 결정과 관련, 대학측은 이해할 수 있도록 해명해야 한다”면서 “이대는 지금이라도 포기 결정을 취소하고 국민 앞에 신뢰를 회복하기를 권고한다”고 밝혔다.

 

구예리·박성훈기자 pshoon@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