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한나라당 사무총장에 김정권 의원이 선임됐다. 그는 경남도의원 3선을 거쳐 국회에 진출한 재선 의원이다. 현재 민주당 사무총장은 정장선 의원이다. 그는 평택에서 도의원 재선을 거쳐 국회에 진출한 3선 의원이다.
두 국회의원 모두 지방의원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정장선 사무총장과는 개인적으로도 인연이 있다. 5대 경기도의회에서 함께 의정활동을 했다. 그리고 내가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있을 때 정 의원은 같은 당 국회의원으로 의원실에 가끔씩 들르곤 했다. 얼마전에는 민주당 사무총장과 민주당 소속 도의원이 한 자리에서 오랜만에 만나 인사를 나누기도 했다. 정 의원을 만나면 자연스럽게 10년 전의 모습을 회상하곤 한다. 정 의원은 온화하고, 남다른 성품을 지녔다. 일에 있어서도 합리적인 모습이 돋보였다. 그런 면모로 볼 때 당의 살림을 도맡아 처리하는 사무총장의 소임을 끝까지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지난 18대 총선을 보면 도내 지역구 당선자 51명 중에서 8명이 도의원 출신 당선자였다. 비례대표 2명과 재선거 당선자 1명을 포함하면 현재 도의원 출신 국회의원은 모두 11명이다. 17대 4명 보다는 크게 늘어난 수치다.
그러나 지방의원이 국회의원이 되는 것이 쉽지는 않다. 일단 지방의원이 정당공천을 받아 국회의원 선거에 나서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국회의원선거에서 정당 공천은 통상적으로 지역위원회 경선이나 공천심사, 전략공천 등 중앙당의 결정에 의해 결정된다. 대부분의 지역위원회 위원장은 현역 국회의원이거나 지난 선거에 출마했던 후보자가 맡는다.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기업의 CEO, 법조인 등 외부 경력이 화려하거나 인지도 높은 후보자가 등장하기 일쑤다. 지방의원과 국회의원 사이에는 극복하기 쉽지 않은, 보이지 않는 장벽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그 쉽지 않은 장벽을 돌파하여 국회에 진출하고, 연임에 성공해 중앙당 사무총장까지 맡은 두 국회의원을 특별한 시선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지방자치가 뿌리내린지 20년이 됐다. 그동안 많은 성과가 있었지만 지방자치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재정분권이 강화되어야 하고, 지방의회의 위상과 의원들의 자질도 더 높아져야 한다.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과제가 많다. 중앙의 법적, 제도적 지원도 필요하다. 누구보다 지방자치의 현실을 잘 알고 있을 두 사무총장을 바라보면서 지방자치도 더 발전되길 기대해 본다.
강득구 경기도의회 기획위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