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지보전지역 등 규제 중첩… 더 이상 안돼” 주민 반대 부딪혀
김포시가 하성면 후평리 일대에 조성하려던 재두루미(천연기념물 203호·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 2급) 취·서식지 조성사업이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2년여 동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25일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9년 재두루미 취·서식지 생태복원을 위한 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2012년까지 4단계에 걸쳐 먹이공급, 무논조성, 벼수확 존치, 후리새 설치, 차폐 가림막 및 화상모니터 등을 설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주민들은 후평리의 경우 민통선과 인접해 군사시설보호구역과 습지보전지역, 문화재보호구역 등 이중 삼중의 규제를 받는 상황에서 또다시 재두루미 취·서식지로 지정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시는 지난 2009년 8월 재두루미 취·서식지 생태복원을 위한 사업계획(실시설계)을 확정하고도 후평리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2년여가 지난 지금까지 주민들과 협의만 해오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후평리 주민들은 “군사시설 및 습지보전지역 등 중첩된 규제로 재산권 행사에 제한을 받는 상황에서 또다시 주민들의 삶의 터전을 새들의 먹이처로 제공하는 일에 절대 동의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이처럼 시와 주민 간 이견을 좁히지 못하는 가운데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이사장 윤순영)가 최근 3년간 재두루미 한강하구 도래 실태를 조사한 결과 지난 2009년 46마리였던 재두루미 개체 수가 2010년 30여 마리, 올해는 10여 마리로 급감했다.
김포지역 한강하구를 떠난 재두루미는 주로 파주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영호 경제환경국장은 “최근 주민들과 협의가 진척돼 문화재보호구역 내에 취·서식지를 조성하자는 주민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올 하반기부터 먹이공급과 후리새 설치 등 관련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