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매연에 포천 광릉숲 ‘신음’

이산화질소 오대산 관통도로의 6배 측정 수목원 “우회도로 유도 등 통행제한 확대 검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이자 산림의 보고(寶庫)인 포천의 광릉숲이 자동차 매연에 신음하고 있다.

 

15일 산림청 국립수목원에 따르면 지난해 대형화물차 통행 금지 조치 이후 3년만에 광릉숲을 관통하는 도로에서 이산화질소(NO₂)를 첫 측정한 결과 연평균 13.4ppb로 나타났다.

 

이는 숲 사이로 도로가 지나는 오대산 관통도로 월정사~상원사 간 446호 지방도로 총 연장 7.2㎞(연평균치 2.88ppb)에 비해 무려 6배나 높은 수치다.

 

월별로는 6월이 19.13ppb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11월 16.37ppb, 1월 17. 50ppb, 4월 14.56ppb, 2월 14.40ppb, 5월 14.06ppb 순이었으며 건조기와 갈수기를 제외하면 대체로 행락철인 4~5월, 10~11월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릉숲은 지난 2007년부터 8t 이상 대형 화물차의 진입을 금지했다.

 

2006년 관통도로 변에 있는 잣나무와 전나무 등 수령 100년 이상 침엽수 654그루 가운데 492그루(75.2%)가 고사하거나 고사 가능성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고 주요 원인으로 차량 매연, 그 중에서도 대형 화물차가 지목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9년 기준 하루평균 차량 9천여대가 오가면서 광릉숲 관통도로 주변에는 여전히 고사중이거나 안에서부터 썩고 있는 고목들이 관찰되고 있다.

 

수목원 측은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차량 매연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한편 수목원 측은 경기도와 함께 관통도로의 통행제한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포천=안재권기자 aj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