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VS 민간… 대장동개발 놓고 성남시-주민들 갈등

주민 “보상가 현시세 1/3 불과, 공공개발 반대” 市 “장기 거주자 입장 최대한 고려해 책정할 것”

성남시가 지난달 중순께 분당구 대장동 도시개발사업을 ‘공공개발방식’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을 발표하면서 지난 2005년부터 민간주도 개발을 주장해 온 대장동 주민들은 큰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시는 LH가 포기한 사업안을 받아들여 오는 2014년 12월까지 분당구 대장동 210번지 일대 91만㎡를 3천100가구 수용이 가능한 친환경 명품 복합주거단지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원주민 등은 민간개발방식이 현 매매가 수준의 토지보상을 받을 수 있는데 반해 공공개발방식은 현 시세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감정평가액 수준의 보상밖에 받을 수 없다며 시의 방침에 반발하고 있다.

 

이에 시는 장기 거주한 주민들의 입장을 최대한 고려해 보상가를 책정하고 개발이익금을 시의 기반시설 확보와 낙후지역 발전에 사용한다는 입장이지만 주민들의 불만은 식을 줄 모르고 있다.

 

부슬비가 내린 지난 7일. 용인·서울 간 고속도로와 서분당 IC를 연결하는 6차선 도로를 달려 도착한 대장동은 전형적인 농촌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5~6개의 부동산과 중소형 식당 몇 개가 고작인 마을입구 도로는 포장도 제대로 되지 않았고 승용차량 2대가 가까스로 드나들 만한 규모의 도로가 나 있었다. 농지와 비닐하우스 사이를 가로지르는 울퉁불퉁한 길을 따라 마을로 들어서자 주변의 풍경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4층 연립주택 몇 개 동이 모습을 드러냈다. 이 연립주택은 지난 2005년, 대장동이 ‘한국판 베벌리 힐스’로 조성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개발에 따른 보상수익을 기대하고 지어진 건물들로 주차장 곳곳이 텅 비어 있어 실제 거주자가 별로 없음을 짐작게 하고 있었다.

 

실제 이곳의 연립주택 거주자는 20여가구에 불과한 상태며 지난 2005년 11월에는 보상수익을 노리고 위장전입한 137명이 경찰에 적발되기도 했다.

 

이곳에서 수십 년을 거주한 주민들은 시의 공공개발 방식 추진 발표에 대해 노골적인 불만을 쏟아내고 있었다. 시가 민간개발을 향한 실제 주민들의 열망을 무시한 채 개발이익금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08년 2월 대장동 도시개발추진위원회를 발족한 주민 100여명은 지난 2009년 10월부터 민간개발 제안서를 제출하는 한편 사업주체인 LH에 사업을 포기해 달라고 요구해왔다.

 

하지만 LH의 사업 진행방침 고수와 입주권, 이주화택지 등의 혜택을 노리고 이곳 연립주택을 사들인 일부 주민들과의 이견 등으로 인해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후 지난해 6월 LH가 사업 전면포기를 선언하면서 다시 민간개발에 대한 기대감에 휩싸였던 원주민들은 다시 두차례에 걸쳐 민간개발 제안서를 제출했지만 시는 이를 모두 반려했다.

 

더욱이 원주민 등은 시가 지난달 17일 시 주도의 ‘공공개발방식’ 추진을 발표하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상락 대장동 도시개발추진위원장은 “공공방식으로 개발될 경우 아무런 재산권 행사를 하지 못한 채 수십년간 이곳을 지켜온 주민들이 인근 토지의 3분의 1에 불과한 보상금만을 받고 삶의 터전에서 쫓겨나게 된다”며 “시가 개발이익금에 눈이 멀어 실 주민들에게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장기거주한 주민들의 입장을 최대한 고려해 보상가를 책정할 것”이라며 “개발이익금은 모두 낙후 지역 내 기반시설 확보 등 성남시민 전체를 위해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민석·박민수 기자 kiry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