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의 신용사업과 경제사업 분리를 골자로 한 농협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으로써 지난 94년부터 논의돼 온 농협개혁 작업이 일단락됐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은행업무로 대표되는 신용사업을 농협의 이미지로 떠올리지만 사실 그 이면에는 농업인의 실익증대를 위해 힘써온 경제사업이라는 뿌리가 자리잡고 있다.
그렇다면 농협에서 경제사업의 의미와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도록 하자.
농협 경제사업은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여 일일이 언급할 수 없기에 대표적인 사례 몇 가지를 통해 살펴보려 한다.
우선 농협은 농업인이 품질 좋은 농산물을 생산하는 데만 전념할 수 있도록 영농자재 및 보조금의 지원을 통하여 농가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계약재배한 우수한 지역 농산물을 공동수매(약정수매)하여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거리로 공급해 주어야 한다.
또한 농협에서 직영하는 농산물유통센터나 하나로마트 뿐만 아니라 일반 유통시장에 농산물을 직접 공급하여 중간유통과정을 최소화해 제값에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는 판로를 확대하고 소비자가 신선한 먹거리를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일석이조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예가 신경분리 후 농협이 경제사업에 전념해야할 이유이고, 또한 이것이 신토불이나 로컬푸드와 연관이 있는 것이다.
특히 로컬푸드 운동이 농협과 무슨 연관이 있는가 하겠지만, 그 지역에서 나는 농산물을 그 지역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지역농협마다 유통사업(마트 등)에 적극 투자해야하고, 이것이 지역농업회생과 지역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면에서 연관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농업인을 위해 농협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길에 대한 우리 모두의 진중한 고민과 실천이 의미 있는 경제사업의 발전을 도모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서석기 수원농협조합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