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귀신' 물리친 그 마을, 비밀은?

"사랑방 초소에 모여 즐거운 마음으로 구제역 길목 막아"

전국을 휩쓴 구제역 여파 속에서도 화를 비켜간 축산 농가마을이 있어 화제다.

특히 구제역으로 어떤 지역의 경우는 주민들이 남 탓을 하면서 지역 공동체가 해체될 위기에 처할 정도로 그 후유증이 심각한 반면에 이 마을은 주민들의 협동심으로 구제역을 막아내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화제의 마을은 소와 돼지 1만여 마리를 키우고 있는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축산 농가 주민들은 자체적으로 '24시간 구제역 감시단'을 꾸려 마을 방역에 나서 구제역 피해를 막아냈다.

◈자발적으로 24시간 교대로 방역 근무

지난 7일 취재진이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마을' 비석을 지나 10여 분간 차를 타고 들어가니 축사 입구 왼쪽에 비닐하우스로 지어진 초소가 보였다.

초소 앞에 세워진 방역기를 지나치자 주민 한 명이 황급히 뛰어나왔다.

"차를 뒤로 빼라"며 제지한 주민이 스위치를 켜자 방역 약품이 뿜어져 나왔다.

시야가 뿌옇게 변할 정도로 많은 양의 방역 약품이 유리창에 뿌려졌다.

비닐하우스 초소에 들어서자 이장 최병만(58) 씨가 "저희는 약이 흐를만큼 팍팍 뿌린다"며 "다른 곳을 보면 유리에 겨우 묻을 만큼인데 그것가지고 소독되겠냐"며 취재진을 맞이했다.

이 곳에서 이장 최 씨와 축산 농가 주민 20여 명은 지난 해부터 최근까지 24시간 교대근무를 해왔다.

최 씨는 "인근 마을에서 구제역이 터졌다는 소리를 듣고 누구 하나 할 것 없이 자발적으로 나와 교대하면서 방역 활동을 벌였다"며 "군에서 해주는 것 외에도 주민들이 3차, 4차로 동네를 돌며 방역활동을 펼쳤다"고 말했다.

◈매몰 가축 '제로'…주민 협동심이 구제역 몰아내

상교리 축산농가는 모두 12곳. 소 400두와 돼지 1만두를 키우고 있다.

지난 12월 25일 여주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했지만 상교리에는 단 한 마리의 가축 매몰도 발생하지 않았다.

주민들은 '퍼펙트 방역'의 비밀을 '협동심'이라고 입을 모았다.

돼지농장주 유주형(38) 씨는 두 달 동안 초소 붙박이 생활을 했다. 돼지 6천두를 키우고 있는 유 씨는 틈틈이 자신의 트럭 뒤에 생석회를 매달고 마을길에다 뿌렸다.

생석회는 순간적으로 열을 발생해 구제역 바이러스를 죽이는 역할을 하지만 굳으면 잘 떨어지지 않는다. 두달여 동안 생석회를 달고 다닌 유 씨의 파란색 트럭은 석회 가루가 뿌옇게 앉아 하늘색으로 변해 있었다.

이처럼 축산농가 모두 방역 작업에 합심한 결과 인근에서 16만 마리가 넘는 소 돼지가 매몰되는 동안 이 마을은 한 마리의 돼지도 살처분되지 않았다.

이장 최 씨는 "축산 농가가 개별로 떨어져 있었다면 이 정도로 가축을 지켜내지 못했을 것"이라면서 "농가들이 함께 모여 있었던 덕분에 힘을 모아 구제역을 막아낼 수 있었다"며 뿌듯해했다.

주민들의 합심 방역 덕분에 축사에는 '살아있는' 소들로 가득했다.

초소에서 약 3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주민 이춘석(46) 씨의 농장.

오는 9일에야 이동제한이 풀리기 때문에 현재는 외부인의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다. 하지만 멀리서나마 소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귀에 노란 태그를 단 누런 소 70여 마리는 서로의 등을 핥아주기도 하고 볏짚 위에 누워 햇빛을 쬐며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여주군 "상교리 주민께 고맙고 감사"

'구제역 매몰 가축 제로'란 값진 열매 뒤에는 주민들의 노력과 희생이 컸다.

마을에 있는 숯가마 찜질방은 마을 곳곳에 뿌려진 생석회에 차가 망가졌다는 손님들의 항의를 묵묵히 참아야 했다.

주민들은 결혼식 등 가족 행사는 물론이고 명절도 반납하고 초소에 나와 방역 작업에 매달렸다.

주민들의 노력에 여주군청도 고마움을 표시했다.

김춘석 여주군수는 "밤 11시쯤 초소를 방문했을 때도 주민 5~6명이 남아있었다"며 "두 달 이상을 24시간 지켰기 때문에 구제역을 피할 수 있었다"고 주민들을 칭찬했다.

김 군수는 "주민들이 똘똘 뭉쳐 노력한 데 대해 고맙고 감사하다"며 "앞으로 더 큰 어려움이 닥쳐와도 충분히 이겨낼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