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문화·관광의 허브 ‘희망의 땅’

미리보는 2020년 서해를 품고 세계로…

글로벌 해양생태·레저·문화도시

자연과 사람 그리고 휴식…아시아의 ‘나폴리’

 

유니버설스튜디오 코리아리조트

외국인 71만명 찾는 서해 랜드마크

오는 2014년 개관할 예정인 화성 유니버설스튜디오 코리아리조트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테마파크로 부지면적 435만㎡에 3조원이 투입되며 송산그린시티의 7.8%에 해당된다.

 

USKR은 기존의 단순한 놀이 동산의 개념에서 벗어나 스토리를 갖춘 테마파크와 시티워크, 워터파크 등을 비롯해 최고 시설의 리조트를 결합시킨 체험과 체류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복합 체류형 리조트로 외국인 관광객 71만명을 포함해 연간 1천500만명의 관광객 유치가 예상된다.

 

USKR 건설시 고용효과 4만2천명, 생산효과 3조4천억원 등은 물론이고 운영과정에서도 고용효과 10만8천명, 생산유발효과 8조4천억원 등이 기대되고 있다.

 

USKR이 미치는 직접적 경제효과가 고용 15만명, 생산유발 12조원 등에 이르는 것이다.

 

화성시는 USKR 운영시 시민이 일정 비율 채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특히 리조트 내 식자재 공급은 화성지역 농산물이 우선적으로 입점될 수 있도록 농업인들과 함께 친환경 농업, 고품질 농산물 생산 등 다각적인 개선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

 

또한 고용에 있어서도 시민이 일정 비율 취업할 수 있도록 교육지원 등에도 나설 방침이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소사~원시선, 신안산선, 서해선과 연계한 원시~송산간 복선전철(5.8㎞) 등을 국가사업으로 오는 2018년까지 추진하되 원시~USKR구간(2.5㎞)을 USKR 개장시기에 맞춰 우선 개통할 계획이다.

 

국토해양부는 이와 함께 국도77호선 등 USKR 주진입로를 오는 2013년까지 4~6차로로 확장하고 동서방향으로 송산~천천간 민자도로(4차로) 및 동서진입도로(6~8차로) 등을 오는 2013년까지 추진하는 한편 제2외곽순환 및 평택~시흥 고속도로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사업지 남측에 고정IC 신설 등을 신설하는 광역교통개선대책을 확정, USKR과 송산그린시티 건설을 가속화하고 있다.

요트허브 프로젝트

전곡 마리나항 그림같은 미항 변신

매년 895억달러 규모의 세계 해양레저산업은 대한민국에 있어 새로운 시장에 대한 도전의 기회이고 국내 신성장 동력을 갖추는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USKR과 더불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바로 해양레저산업.

 

화성시는 화성요트허브프로젝트, 전곡항 해양산업단지 조성 등을 통해 한국형 해양레저산업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시는 서신면 전곡리에서 장외리 해역에 이르는 고렴지구에 오는 2015년까지 총 7천356억원을 투입, 화성 요트허브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전곡 마리나항을 중심으로 주거와 산업단지, 휴양리조트 등을 집적화할 화성 요트허브프로젝트는 친환경적인 한국형 에코 허브로 조성할 예정이다.

 

우선 해양레저산업의 SOC 확충을 위해 내년까지 총 1천237억원을 들여 전곡항에 633척이 계류할 수 있는 마리나 시설을 포함해 어항시설 확충, 클럽하우스, 수선소 등을 조성하고 제부도에 500척이 계류할 수 있는 마리나 시설을 포함해 요트훈련장, 클럽하우스 등을 건설할 계획이다.

 

국내 최초의 해양레저 산업단지가 될 전곡 해양복합산업단지도 함께 조성되고 있다.

 

해양레저 장비제조 및 생산기지인 전곡 해양복합산업단지는 총 5천37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오는 2013년까지 완공하고 보트 관련 산업시설, 지원시설, R&D센터, 판매 및 수리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해양레저 문화를 즐기며 관광객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등 해양레저 관광서비스를 제공할 해양레저 콤플렉스도 조성된다.

 

오는 2015년까지 총 5천700억원이 소요될 해양레저 콤플렉스는 리조트와 호텔 등 숙박시설과 마리나 주택, 컨벤션·비즈니스 센터, 해양박물관, 청소년 수련장, 요트아카데미 등으로 구성되며 향후 대한민국 요트의 허브가 될 전망이다.

 

마리나 시설, 해양복합산업단지, 해양레저콤플렉스 등 화성 요트허브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생산유발효과 7조원, 4만6천400명의 고용창출효과 등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신성장 동력이 구축된다.

매향리 생태공원

폭격의 상처 치유 ‘생명의 섬’ 변신

수십년 동안 미군의 폭격훈련장으로 사용됐던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사격장은 평화생태공원으로 거듭 난다.

 

지난 2007년 소유권이 한국정부에 이전된 뒤 오랜 기간 논의를 거친 끝에 평화생태공원조성 방침이 확정됐다.

 

이에 따라 부지 97만3천㎡에 역사관과 기념관, 생태공원 등이 조성되며 갯벌 등 다양한 해양체험시설과 문화의 거리, 야외공연장 등도 함께 들어선다.

 

시화호 공룡알 유적지를 활용한 ‘선사박물관’은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 일원에 오는 2020년까지 3천19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이 선사박물관은 공룡생태박물관, 야외 공룡공원, 공룡연구소, 자연사학습장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글로벌 해양생태·레저문화 관광벨트 주요 사업

· 화성 요트 허브 = 서신면 전곡리 일대 94만8천㎡에 오는 2015년까지 리조트, 호텔, 컨벤션 및 비즈니스센터, 인공해변, 테마파크 등이 조성된다.

 

· 유니버설스튜디오 = 신외동 일대 435만2천㎡에 오는 2014년까지 체류형 복합테마리조트, 테마파크, 워터파크, 컨벤션센터, 골프장 등이 들어선다.

 

· 화성선사박물관 = 송산면 고정리 일대 33만㎡에 오는 2020년까지 공룡생태박물관, 야외 공룡공원, 공룡연구소 등이 마련된다.

 

· 매향리 생태공원 = 우정읍 매향리 일대 97만3천㎡에 오는 2020년까지 토양 오염이 제거되고 ‘평화생태’를 주제로 공원이 조성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