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우리고장에 장사시설을”

市, 의정부·양주·구리 등과 공동… 사업비 절감 계획
지자체 간 새 협력모델 평가… 내달 최종후보지 결정

주민들의 반대 등으로 지자체마다 장사시설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포천시가 인근 시의 수요까지 해결하는 공동장사시설을 추진하고 나서 관심을 끌고 있다. 더욱이 이같은 추진에 인근 지자체들도 공동투자의향을 보이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지자체간 새로운 협력 모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8일 포천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인구밀도가 높은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지자체들이 장사시설의 필요성을 절감하면서도 주민들의 혐오시설 인식으로 인해 부지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착안, 공동장사시설 건립을 추진키로 했다.

 

시는 공동장사시설 부지규모를 2만8천~8만7천㎡이상으로 조성하며 화장시설 4~12기를 비롯해 봉안시설과 편의시설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같은 시의 공동장사 시설 추진 배경에는 서울시의 1.4배에 달하는 광활한 면적과 70%의 산지를 가지고 있는 반면, 인구는 16만명에 불과해 장사시설 적지를 찾기에 유리한 조건이다.

 

여기에 관내 하루 평균 장례를 치르는 3명 가운데 2명이 화장장을 이용하지만 장사시설이 없는 포천시의 경우, 경기남부지역이나 강원도 지역의 화장장을 이용함으로써 비용과 노력이 몇 배나 드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는 공동장사시설 부지와 건립비용을 다른 지자체와 공동부담함으로써 재정적 어려움도 타개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시는 공동장사시설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오는 18일까지 예비후보지를 물색, 부지조성에 따른 입지 타당성과 법률적 검토를 이달 말까지 완료키로 했다.

 

이어 시는 장사시설 건립추진위원회 의결을 거쳐 참여 자치단체수와 주변지역에 대한 인센티브 기본안 등을 마련하고 3월 중 정식공모를 통해 최종후보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시는 실무적으로 긍정적인 입장을 표한 인근 의정부를 비롯해 양주·남양주·구리시 등의 공동 참여를 모색, 사업비 부담 경감과 운영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또 시는 이들 지자체외에 2~3개 지자체와도 계속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수원연화장, 충남 홍성추모공원 견학과 주민설명회 등을 갖고 인근 자치단체에 대한 참여의사를 타진하는가 하면 국비를 지원받기 위해 지난해 11월에는 보건복지부 관계자를 면담하는 등 장사시설건립에 따른 공감대 구축에 나서고 있다.

 

백영현 에코도시개발과장은 “최적의 장사시설 후보지라고 판단되는 부지가 있으면 토지소재지 읍·면·동에 지번, 면적, 소유자를 구두 또는 서면으로 제출해 달라”며 “장사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문화적 공감대와 함께 지자체의 새로운 협력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포천=안재권기자 ajk@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