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경영하는 약국에서는 가끔 이런 일이 발생한다. “갤로퍼 한 통 주세요” “네? 갤로퍼라구요?” “아, 그 있잖아요? 속이 안 좋을 때 한 포씩 짜 먹는 갤로퍼요!”
이쯤 되면 필자는 상황을 인식하고 정리를 위해서 최대한 쉽게 설명, 이내 약국은 환자와 약사가 어울려서 한바탕 웃음으로 유쾌하게 상황이 종료된다.
그야말로 정보의 홍수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다. 직접적인 교육을 통해서 또는 여러 종류의 미디어를 이용한 교양프로그램과 광고를 통해서 우리는 건강과 관련된 수많은 정보를 접하게 된다.
정보는 시의성과 정확성이 생명이다. 우리의 건강과 관련해 정확성이라는 요소는 특히 중요하다. 필자는 요즘 약의 전문가로서, 약과 관련된 건강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개인의 잘못된 생활습관과 건강상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에 적극적으로 대처, 정확하고 올바른 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소비자에게 스마트한 건강생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지난 2004년 PPA함유 감기약 퇴출 사건을 기억하는 분들이 많이 있으리라 믿는다. 수십년 동안 코감기약 성분으로 병원에서 처방되고 약국에서 조제·판매됐던 제품들이 어느 한순간 전량 회수되었다. 다년간의 추적조사를 통해 뇌졸중 유발위험이 크다고 판단돼 미국 FDA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회수 조치에 들어간 것. 의·약사 등과 같은 약물공급자들은 약물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미흡했음을 되돌아보고, 소비자들은 정해진 용량과 용도를 벗어난 사용 행태에 따라 예기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고, 정책 결정자들로 하여금 약물 사용에 대한 사후 조사와 적절한 조치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학습하는 좋은 계기가 됐다.
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 논의가 큰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의약품의 안정성 확보와 소비자의 편의성 제고라는 대명제를 두고 관련 단체들과 사회구성원들 간 논의가 뜨겁다. 다른 나라의 예를 보더라도 의료 환경과 약국 접근성 등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 따라 사회적인 합의를 거쳐 각각 다른 형태의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정답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는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할 의무가 있고 그에 복무하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잘못된 정책 시행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온전히 국민들이 감당해야 할 몫으로 돌아올 것이기 때문이다. 이애형 경기도마약퇴치운동본부 부본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