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구제역과 전쟁 중

지난해 11월 29일 경북 안동에서 처음으로 발생된 구제역이 강원, 경기 등 지역 구분 없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구제역은 소, 돼지 등과 같이 발굽이 둘로 갈라진 가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치사율이 최고 55%까지 이른 데다 전염성이 강해 제1종 바이러스성 법정전염병으로 정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그에 대한 어떤 치료법도 없어 구제역에 걸린 가축들이 살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위기 대응 경보를 ‘심각’으로 끌어올리고 중앙재난안전본부를 설치하는 등 국가적인 재난을 수습하고자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해 보지만 확산세는 전혀 꺾이지 않고 있으며 축산농가의 피해는 갈수록 커져만 가고 있다.

 

이 같은 재난을 하루라도 빨리 단축시키지 않는다면 국내 축산업의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 한우의 경우 송아지를 키우는 데 약 2~3년이 걸리고, 번식을 목적으로 사육하는 암소도 약 4~5년이 소요된다고 한다. 지금의 상황에서 평년의 출하량을 회복하려면 최소 2년 이상은 필요하다고 하니 하루빨리 구제역을 막아야 할 것이다.

 

2000년과 2002년 구제역 파동 때도 대한민국 ‘한우 명가’의 자존심을 지켰던 강원도 횡성도 이번만큼은 피해 가지 못했다는 것에 국민 모두가 충격에 싸였다.

 

구제역 여파로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수입량은 급속도로 늘고, 수입단가도 올랐다. 이렇게 육류 가격이 급등하고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불안감으로 외식업계의 매출액은 감소하고, 매년 지역축제를 계획했던 지자체에서도 행사를 취소하는 등 지역경제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여기저기 피해 규모가 커지면서 이를 조금이나마 줄이고자 정부는 대책마련에 나섰고 공무원, 군인, 경찰을 비롯한 지역의 농축협 직원들이 모두 하나가 되어 강추위 속에서도 밤낮을 가리지 않고 구제역 확산 방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금 대한민국은 구제역과의 전쟁 중이다. 하루 10만 마리의 가축 ‘살처분’이 수주일 내내 이어지는 최악의 사태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런 사태에 백신접종 확대 및 살처분과 매몰에만 매달릴 게 아니라 질병의 발생 규모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돼 과감히 실행에 들어가야 할 것이다. 또한 자식 같은 가축들을 땅 속에 묻어야만 하는 축산농가의 아픔을 이해하고 더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제역 방역에 최대한 협조해야 한다.

 

서석기 수원농협조합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