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서 만세운동 주도… 보훈처 “증빙자료 부족해”
대한제국 말기 동두천지역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홍덕문 선생의 독립유공자 추서를 추진중인 후손들이 증빙자료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1일 동두천시와 후손 등에 따르면 홍덕문 선생(본명 홍병준)은 지난 1919년 3·1만세 운동에 맞춰 동두천시민 1천여명을 이끌고 독립만세 운동을 벌이다 일본군에게 체포돼 서대문형무소에 투옥, 모진 고문을 받고 1923년 5월 걸산동 자택에서 타계한 독립운동가로 알려져 있다.
그를 추모하기 위해 동두천노인회는 지난 1975년 소요산 입구에 추모비를 세웠고, 1991년에는 동두천 애향동지회가 추모비 근처에 비각을 건립했다.
시도 지난 1986년 추모비를 시문화재로 지정한 뒤 매년 추모행사를 벌이고 있다.
그러나 홍덕문 선생이 지역 내에서만 독립유공자로 인정받고 있을 뿐 아직도 국가로부터 독립유공자 신분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현재 홍덕문 선생의 처종손으로 알려진 이희문씨에 의해 홍덕문 선생의 독립유공자 추서가 추진되고 있으나, 관련자료 수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직계 후손인 홍덕문 선생의 외동딸은 해방 이후 행방이 묘연한 상태라 홍덕문 선생의 독립유공자 추서 활동은 이희문씨의 자료수집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희문씨(55)는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자료가 소실된 상태에서 후손이 알아서 유공사실을 증명하라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홍덕문 선생의 독립유공자 추서를 위해 국가보훈처가 주도적으로 나서 자료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독립유공자로 지정받으려면 객관적인 증빙 자료가 있어야 하는데, 홍덕문 선생의 경우 증빙자료가 너무 부족해 지정이 어려운 상태”라며 “관계자들의 구증에 의한 진술은 효력이 없어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동두천=이호진기자 hj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