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농어촌특례>① 지역현실 안 맞는 ‘대입 농어촌특례’
<포천시 교육행정 긴급진단>
신도시 소흘읍 농특·인구 적은 동지역은 제외
도농복합도시… 읍·면 거주만으로 혜택 불합리
포천시는 지난 2003년 도농복합시로 승격됐다. 시는 포천읍을 신읍동과 선단동으로 분리하는 등 현재 14개 읍·면·동(1읍, 11면, 2동) 체계를 갖추고 있다. 시는 도농복합시 승격을 통해 개발촉진도시로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으나 반드시 수반돼야 할 교육적 제반 여건이 현실과 맞지 않아 지역 및 글로벌 인재 육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보는 농어촌특례입학 전형제도로 인한 또다른 피해와 전문가의 개선방안 등을 살펴본다. 편집자 주
포천지역 주민과 교육계는 지난 1996년 도입된 교육환경이 열악한 농어촌지역 학생 중 4%를 특례로 선발하는 대입 농어촌특례입학전형제도가 지역 현실과 맞지 않는다며 제도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지난 2003년 도농복합시로 승격된 포천시가 포천읍을 신읍동과 선단동으로 분리하면서 신읍동에 소재한 포천고등학교가 지역 내 고등학교 중 유일하게 농어촌특별전형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로 인해 포천고의 학부모와 학생이 농특적용을 받는 읍·면 지역으로 유출되고, 교사승진제도상 가점이 없어지면서 신규 교사의 신청만 늘어나는 등 기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포천고의 서울지역 대학 진학률 역시 2008년 15.7%에서 2009년 11.7%로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학력저하 현상과 함께 진학지도에 차질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포천고에서 걸어서 7~8분 거리에 있는 군내면 포천일고의 농특 혜택을 받고 있으나 학생과 학부모 40% 이상이 산과 밭이 대부분인 군내면 보다는 주거공간과 상권이 발달한 신읍동에 거주하면서 읍·면 단위 거주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농특 적용에서 제외돼 역차별을 받고 있는 상태다.
더구나 인근 의정부지역이 2012년부터 고교평준화제도를 시행키로 하자 포천지역 학생과 학부모들이 거리가 먼 지역의 학교를 찾아 고향을 떠나고 있는 실정이다.
학부모들은 “신도시로 급부상한 소흘읍의 경우 인구가 4만7천여명으로 급속히 늘었어도 농특적용을 받는 반면 포천읍에서 분리된 신읍동과 선단동은 두 동 인구를 합쳐 3만2천여명에 불과한데도 농특에서 제외됐다”며 “농특제도가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한 채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고 현실성 없는 교육행정에 불만을 토로했다.
김종천 시의장은 “교육낙후지역의 학생들이 잘못된 제도로 피해를 보는 일이 생겨서는 안된다”며 “의회 차원에서 포천지역 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문제해결을 위한 대책위를 구성하고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시와 의회, 학부모, 교육 관계자들은 “아무리 좋은 제도라 하더라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돼야 한다”며 “포천지역은 농어촌특별전형제도가 행정구역상 지역단위가 아닌 지리적 관점에서 적용돼야 한다”고 강조, 농어촌특별전형제도의 제도적 허점 보완과 개선을 촉구했다. 포천=김주린기자 jo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