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지하에 하수처리장·지상엔 생태공원 하수관거정비로 수질개선·경제 활성화 효과
김포시 하수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BTO)과 하수관거정비 임대형 민자사업(BTL)이 친환경 녹색성장 시대 청정김포를 이끌 선두주자로 떠오르고 있다.
시는 2천683억원을 들여 2012년 7월까지 통진읍 수참리와 고촌면 신곡리에 각각 통진하수처리장(4만t/일)과 고촌하수처리장(1만2천600t/일)을 신설한다.
또 걸포동 김포하수처리장은 처리용량을 4만t에서 8만t으로 확대하기 위해 지난 해 7월 증설공사에 착공, 현재 47%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시공을 맡은 포스코건설 등 9개 업체로 구성된 컨소시엄 푸른김포㈜는 3개 하수처리장을 20년간 관리, 운영한 뒤 소유권을 시에 넘긴다.
신설되는 하수처리장(레코파크 Recopark)은 처리장을 지하화하고 상부에는 자연친화적인 생태공원과 시민들의 여가활동을 위한 산책로, 축구장, 농구장, 어린이놀이터, X게임장 등이 조성된다.
시는 또 민간자본 820억원이 투입되는 하수관거정비사업을 지난 10월 착공, 오는 2013년 말께 완공할 계획이다.
이는 사우·풍무·김포1·2동 등 동지역과 통진읍, 양촌·하성면 등 읍·면 지역 등 모두 1천720㏊의 하수관거 130.6㎞를 정비 및 신설하는 것으로 한강신도시 등 각종 개발로 인해 늘어나는 하수물량을 처리하게 된다.
BTL 방식인 하수관거정비사업은 준공과 동시에 시설물은 시로 귀속되고 ㈜포스코건설 등 5개 사가 출자해 설립한 청정김포㈜는 시로부터 20년간 시설 임대료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임종광 상하수도사업소장은 “장기간 소요되는 하수처리시설 및 하수관거정비사업을 민간자본을 활용해 단기간에 정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김포지역에서 발생하는 하수의 80%를 처리할 수 있어 수질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