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반환공여지 주변 오염조사 ‘쉬쉬’

의정부 ‘주민불안’ 이유 비공개… 시 “공개 전례 없어”

의정부시가 일부 미군반환공여지 주변지역 토양오염 실태조사 결과를 환경부로부터 통보받고도 주민불안 등을 이유로 공개치 않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7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9년 2월부터 11월까지 캠프에세이온 등 반환기지 5개와 미반환기지 스탠리, 잭슨 등 3개 기지 등 모두 8개 기지 주변 지역토양, 지하수 오염 기초조사를 실시했다.

 

환경관리공단에 의뢰해 기지외곽 경계에서부터 100m지점까지 샘플링해 조사한 결과, 토양은 조사 259곳 중 77곳이 토양환경보전법상 가장 높은 가지역(농사를 지을 수 있는 수준)기준치를 초과했다. 지하수는 32곳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시는 캠프 시어즈를 제외한 7곳에 대해 2차 정밀조사를 환경부에 의뢰했으며 환경부는 지난 4일 캠프에세이온·라과디아·홀링워터 기지에 대한 조사결과를 의정부시에 통보했다.

 

나머지 진행 중인 카일은 연말까지 스탠리·잭슨·레드클라우드는 내년 초에 통보될 예정이며 이번 조사에서 제외된 시어즈는 지난해 2차 정밀조사를 마쳐 지난 7월 시에 통보됐다.

 

그러나 시는 토양오염실태 조사 결과를 통보받고도 공개할 경우 오염지역의 재산가치 하락, 피해 주민들의 불안감 조성 등을 이유로 공개치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로 인해 시민들은 “의정부시와 환경부가 공개를 못할 정도로 지하오염이 심각한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 반환공여지 오염실태에 대해 일부 지자체에서는 시민보고회를 갖고 공개할 정도로 사회적 관심이 큰 사항이고 정확한 오염자 파악과 치유는 물론 막연한 불안감 확산 방지를 위해서 지체없이 공개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의정부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오염실태는 사익보다 공익적 가치가 우선돼 공개돼야 한다”며 “더욱이 지하층 오염실태는 재산가치와는 별개의 문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자체가 (지하오염 실태를) 공개한 전례가 없다”며 “조사용역기관인 환경부가 발표해야 한다”고 밝혔다.  북부취재본부=김동일기자 53520@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