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참여당, 도지사 경선 놓고 이견 못좁혀
야권 단일화가 경기지사 단일화와 관련된 이견을 끝내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결렬됐다. 이에 따라 이번 지방선거에서 경기지사를 비롯한 기초단체장 등 야권 전략에 상당한 차질이 예상된다.
야권 단일화 협상을 중재해 온 시민사회단체와 민주당 등 야 4당은 20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경기지사 후보단일화 방식을 둘러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최종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민주당 우상호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양보에 양보를 거급했고 시민사회 중재안을 받아들였으나 참여당은 중재안을 계획적으로 파기해 버렸다”며 “유시민 후보는 협상 결렬의 책임을 지고 후보직을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측 협상대표인 김민석 최고위원도 “민주당이 수도권과 호남의 공천권까지 양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시민 후보에 의해 경기지사 경선룰에 관한 합의가 파기됨으로써 협상 결렬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민참여당 이재정 대표는 “국민참여 경선은 동원경선이 뻔하고 참여당이 승리할 가능성이 거의 없지만 승패를 떠나 우리는 이 원칙을 수용했다”며 “시민사회단체 추천 10%는 경선의 공정성과 합법성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구”라고 민주당을 비판했다.
시민단체들도 기자회견에서 “협상시한을 연장했음에도 불구하고 협상이 최종 결렬돼 이번 협상을 중재해 온 시민 4단체는 국민여망을 실현시키지 못해 안타깝다”며 “사소하다면 사소하다고 할수 있는 두 가지 쟁점 때문에 성사되지 못한 점에 깊은 분노와 함께 무능을 절감하고 있다”고 민주당과 참여당을 싸잡아 비난했다.
한편 민노당 안동섭 경기지사 후보는 이날 오후 국회 기자회견에서 “야권연대 4+4 논의가 최종적 난관에 봉착했다”며 위기 해결을 위해 각 당 경기지사 후보 긴급 회동을 제안했다.
야권 단일화 협상의 최대 쟁점은 경기지사 경선 룰에 대한 민주당과 참여당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일괄타결 방식의 모든 협상이 무산됐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