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의 의사를 소통하기 위해서는 언어가 필요한데 사람 뿐만 아니라 차에도 언어가 있다. 차량이 방향을 전환하거나, 정지하거나, 후진하는 경우 각종 등화가 차량의 진행을 예고해 준다. 이러한 예고를 보고 주위의 차량은 양보를 하거나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의사표시를 무시하고 운전을 한다면 매우 당황하거나 미처 대처하지 못하여 사고를 일으킬 수도 있다.
운전 중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향지시등인데 운행을 하다보면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고 끼어들기를 하는 차량을 자주 보게 된다.
방향지시등은 진로를 변경하기 전에 미리 작동하여 진로변경 의사를 옆 차량과 뒷차량에게 알려 후속차량이 충분히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시간을 줌으로써 안전하게 진로를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30m(고속도로는 100m) 전방에서 부터 3초 이상 방향지시등을 켜고 안전할 때 진입해야 한다는 사실은 운전자의 기본적인 상식이다.
방향지시등을 작동하지 않는 차량 중에는 조작을 일부러 안하는 경우도 있으나 휴대폰으로 통화를 하는 중이라 방향지시등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렇게 차량의 진행 의사표시를 생략하고 진행하는 차량이 내차 앞으로 끼어들게 되면 무언가 손해 본 것 같고 은근히 화가 나서 여유 있는 운전이 어려워진다.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고 차로를 변경하려는 차를 보고 차가 자기 앞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급작스럽게 가속하여 차간거리를 좁히는 운전자가 많아 방향지시등을 켜는 것이 오히려 손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으나 방향지시등을 사전에 충분히 조작해 주는 행위는 운전자 상호간에 주고받는 대화일 뿐만 아니라 요즘같이 복잡한 도로에서 운전자가 꼭 지켜야 할 기본적인 예절이다. 만약 방향지시등을 켜고 진입하는데도 비켜주지 않을 때에는 손을 들어 양보를 구한 후에 안전하게 진로를 변경하도록 하고 진로변경 후 양보해준 후속 차에게 손을 들거나 비상등으로 고마움을 표시하면 뒷차량 운전자의 마음을 풀어주고 양보해준 보람을 줄 수 있다. /김기응 교통안전公 경기지사 안전관리처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